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정부가 국정 전반에 청년세대의 인식을 반영할 수 있는 ‘청년보좌역’을 신설하고 ‘2030자문단’도 구성한다.
청년 정책 전담조직을 설치한 9개 부처인 기재재정부, 교육부, 행정안전부, 문화체육관광부,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국토교통부 등에 대선 당시 제시한 ‘청년보좌역’을 배치하고 ‘2030 자문단’을 구성한다고 26일 밝혔다.
‘청년보좌역’은 각 부처·위원회 장관실에 배치돼 독립적으로 근무하며 청년세대의 인식을 주요 정책에 반영하는 핵심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만 19~34세 청년을 대상으로 ‘공개모집’을 통해 별정직 5급 상당 공무원으로 채용할 예정이다.
‘2030 자문단’은 청년들의 인식과 의견을 청년보좌역에 전달하는 가교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만 19~39세 MZ세대를 중심으로 청년보좌역을 포함한 20명 이상으로 구성된다. 부처별 특성에 따라 유동적으로 운영된다.
정부는 조속한 시일 내 9개 부처·위원회의 직제를 개정하고 국무총리 훈령을 제정해 ‘청년보좌역’과 ‘2030 자문단’ 운영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정책 결정 과정에서 소외됐던 청년들의 참여를 대폭 확대해 청년들의 목소리가 국정전반에 반영될 수 있도록 심도있게 논의해 왔다”며 “공정과 상식에 부합하는 여건으로 유능한 젊은 인재들의 많은 지원을 기대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