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정부가 수산물 물가 안정을 위해 ’수산물 비축 물량 상시방출 체제‘를 가동한다. 수산물 상생할인 행사도 380억원 규모로 확대한다.
해양수산부는 8일 열린 제1차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수산물 물가안정을 위한 추가적인 대책을 확정했다.
우선 ’수산물 비축물량 상시방출 체제‘를 가동해 소비자가격이 많이 오른 명태는 11일부터 전통시장, 마트 등 소비자 직판처에 최대 30% 할인한 가격으로 방출한다. 소비자 직판처 수요를 고려해 동태탕 등의 재료로 쓰이는 1마리당 500~600g 중간크기의 명태를 중심으로 공급할 예정이다.
또한 ’수산물 물가안정 대응반‘을 통해 대중성어종 등 주요 품목에 대해 매일 가격 동향을 밀착 점검하고 있다. 가격 상승이 우려되는 대중성어종은 즉시 비축물량을 방출해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서민 밥상 물가 부담 완화를 위해 현재 진행 중인 ‘수산물 상생할인 지원사업’에 예비비 200억 원을 추가로 투입해 7월부터 총 380억 원 규모의 수산물 할인행사를 추진한다. 당초 하반기로 계획된 총 4회의 할인행사에 행사횟수를 추가하고 행사규모와 할인품목, 할인한도 등을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14일부터 31일까지는 ’여름휴가특별전‘을 40억 원 규모로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평년보다 이른 추석에 대비해 ’추석특별전‘은 역대 최대인 188억 원 규모로 준비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유류비 상승으로 어업인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을 감안해 어업용 면세유 유가연동보조금 지급 기준가격 단가를 7월부터 리터당 1,100원에서 1,070원으로 30원 인하한다.
최근 고유가 영향으로 어업용 면세경유 가격도 상승 추세가 지속되고 있는 만큼 지난 6월부터 약 3만 2천명의 어업인을 대상으로 추진하는 유가연동조보금 지급 기준가격 단가도 1100원에서 1070원으로 인하하고 있다.
조승환 해수부 장관은 “국민들이 주로 소비하는 주요 수산물에 대한 가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가격 이상 징후 포착 시 정부 비축물량을 즉시 방출하는 등 물가 안정 대책을 차질없이 추진하겠다. 어업인 유가연동보조금을 조속히 집행해 민생안정에도 주력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