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해양수산부는 국내 수족관에 남아있는 마지막 남방큰돌고래 ‘비봉이’를 자연 생태계로 돌려보내기 위한 본격적인 준비를 시작한다.
제주도 연안에서 약 120여 개체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남방큰돌고래는 2012년 해양보호생물로 지정돼 보호 관리되고 있는 종이다. 해양보호생물 지정 당시 국내 수족관에서 총 8마리가 사육됐다.
좁은 수족관을 벗어나 넓은 바다에서 자유롭게 살아갈 수 있도록 2013년 ‘제돌이’, ‘춘삼이’, ‘삼팔이’ 등 총 7마리를 방류해 지금은 제주 퍼시픽랜드에 ‘비봉이’ 1마리만 남아있는 상태다.
해수부 측은 "‘비봉이’는 그 동안 생활해 온 퍼시픽랜드의 수조를 벗어나 제주도 서귀포시 대정읍 연안에 설치된 가두리 훈련장에서 활어 먹이훈련, 야생 돌고래 개체군과의 교감 등 야생적응 훈련을 거쳐 제주도 인근 해역에 최종 방류될 예정이다"고 했다.
전문가들로 구성된 기술위원회가 ‘비봉이’의 건강과 먹이 섭식 상태를 진단한 결과 해양방류가 가능한 것으로 보았다. 현재 ‘비봉이’는 사육수조 내에서 훈련을 마친 상태로 살아있는 먹이를 직접 사냥해 먹으며 빠르게 적응하고 있는 모습이 확인되고 있다.
해수부는 비봉이를 제주도 서귀포시 대정읍 인근 연안에 설치된 가두리로 이송할 계획이다. ‘비봉이’가 해양방류 이후 야생돌고래 무리에 자연스럽게 합류해 생존할 수 있도록 가두리 내에서 야생 환경 적응 훈련과 함께 야생 돌고래 무리와의 접촉과 교감을 시도할 예정이다. 단계별 훈련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면 최종적으로 방류하게 된다.
방류 시에는 ‘비봉이’의 위치추적과 행동특성 파악을 위해 GPS 위치추적장치를 부착해 향후 1년 이상 장기적으로 모니터링하게 된다. 또한 육안으로도 식별할 수 있도록 등지느러미에 인식번호(8번) 표식을 하고 선박이나 드론 등을 이용해 건강상태, 야생 개체군 무리 합류 여부 등 야생 생태계 적응 여부에 대한 관찰도 지속 실시할 예정이다.
전문가들은 "해양에 방류된 돌고래가 야생 생태계에 빠르게 적응하기 위해서는 훈련 과정에서 사람과의 접촉을 최소화 하고 각종 소음이나 불빛 등 외부요인들을 철저하게 차단해야 한다"며 "특히 비봉이의 경우 함께 훈련하는 동료 없이 단독으로 훈련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외부요인에 대한 관리가 중요하다"고 했다.
해수부는 ‘비봉이’ 해양방류와 관련한 모든 과정에 대해 일반인 출입과 접근을 최소화 하고 각 단계별 훈련상황 등을 기록한 영상과 자료를 자체 제작해 공개할 예정이다. 또한 방류시기도 사전에 특정하지 않고 건강상태, 훈련성과 등을 종합 평가해 결정할 예정이다. 행사 없이 ‘조용한 방류’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해수부는 야생적응 훈련 과정에서 ‘비봉이’의 해양방류가 불가하다고 판단되는 경우를 대비해 별도의 보호·관리를 위한 대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