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환경부가 여름철 오존 발생을 줄이기 위해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을 함유하고 있는 자동차 보수용 유성도료를 수성도료로 전환한다.
환경부는 국내 도료(페인트) 제조사와 5일 오전 여름철 오존 발생 원인 중 하나인 VOCs을 함유하고 있는 자동차 보수용 유성도료를 VOCs 함량이 낮은 수성도료로 생산을 전환하기 위해 자발적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는 국내 자동차 보수용 도료 생산량을 90% 이상 차지하고 있는 9개 제조사와 한국페인트·잉크공업협동조합이 참여했다.
자동차 보수용 도료는 외부 충격 등으로 손상된 차량 부위에 판금 수리 시공을 한 뒤 그 위에 도장하는 페인트다. 특히 국내에서는 VOCs 함량이 높아 건조가 용이한 유성도료를 주로 제조해 판매하고 있어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자동차를 도장할 때 도료 안에 포함된 VOCs이 휘발돼 여름철 고농도 오존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환경부는 “자동차 보수용 도료가 수성도료로 전환되면 자동차 도장 공정에서 발생하는 VOCs 배출이 줄어 여름철 오존 관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앞서 자발적 협약에 참여한 기업과 조합은 지난 1일부터 자동차 보수용 도료를 기존 유‧수성도료에서 수성도료로 전환해 생산하고 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