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한별 기자] 2023학년도 수능이 오는 11월 17일 전국 84개 시험지구 1,373개 시험장에서 실시된다.
교육부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안정적으로 시행하기 위한 '2023학년도 수능 시행 원활화 대책'을 18일 국무회의에서 발표했다.
올해 응시자는 전년 보다 1,791명 감소한 50만8,030명이다. 수능은 오전 8시 40분부터 오후 5시 45분까지 실시된다. 시험장 출입은 수능 당일 오전 6시 30분부터 가능하고 시험실 입실은 8시 10분까지 완료해야 한다.
올해도 수능 시험장에서의 감염병 확산 예방을 위해 '일반 수험생'과 '격리대상 수험생'이 응시하는 시험장으로 구분된다.
18일 기준 일반 수험생 대상 시험장은 1265개 지정돼 일반 시험실 2만2178실 외에 시험 당일 유증상자를 위한 분리 시험실 2318실이 마련될 예정이다.
코로나 확진으로 수능 시험일 당일 격리 중인 수험생이 응시할 수 있는 별도 시험장은 전국에 총 108개 마련된다. 시험실 680실이 운영되는데 4683명을 수용할 수 있다.
코로나19 확진으로 입원치료 중인 수험생도 수능에 응시할 수 있도록 수험생용 병원 시험장을 전국 24개소에 지정했다. 입원치료 병상은 93개가 운영된다.
교육부는 격리대상 수험생 발생 시 해당 시험장에 배정할 수 있도록 수능 2주 전부터 격리대상 수험생 발생 상황을 모니터링한다. 이를 위해 질병관리청, 한국교육과정평가원과 함께 '공동 상황반'을 운영해 수능 원서접수자 중 격리대상자 현황을 파악할 예정이다.
격리의무 기간인 7일을 고려해 다음달 11일 이후 격리통보를 받은 수험생은 사전에 지정된 별도 시험장으로 배정받게 된다. 수능 당일에 한해 외출 허용을 받아 별도 시험장에서 수능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수능 시험일을 앞두고 확진 또는 격리 통보를 받은 수험생은 신속한 시험장 배치를 받을 수 있도록 즉시 관할 교육청에 알려야 한다.
아울러 수험생 감염 확산을 예방하고 시험장 방역 조치를 위해 수능 3일 전인 14일부터 16일까지 전체 고등학교와 시험장 학교의 원격수업 전환을 권고할 예정이다.
시험 당일 관공서, 기업체 등의 출근시간을 '오전 9시'에서 '오전 10시 이후'로 조정하도록 협조 요청했다.
장상윤 교육부 차관은 "교육부는 관계 부처, 시도교육청, 지자체와 협력해 수험생들이 안전하게 수능 시험에 응시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