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올해 1월부터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됐지만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사망사고는 오히려 전년 보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올해 3분기(7~9월) 중 건설사고 사망자가 발생한 시공능력평가 상위 100대 건설사와 하도급사, 발주청, 지자체 명단을 26일 공개했다.
국토부가 건설공사 안전관리 종합정보망(CSI) 통계를 분석한 결과 건설사고 사망자는 총 61명이었다. 이 중 100대 건설사 현장에서 발생한 사망자는 18명이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6명(50%) 증가한 수치다.
사망사고가 발생한 100대 건설사는 총 14개 사다. 디엘이앤씨, 대우건설, 계룡건설산업, 호반산업에서 각 2명씩, 8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또한 현대엔지니어링, 코오롱글로벌, 금호건설 등 10개 사에서 각 1명씩 10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특히 시공능력평가 순위 3위인 디엘이앤씨에서 4분기 연속으로 사망사고가 일어났다. 지난해 10월과 올해 3월, 4월, 8월 잇따라 발생한 사고에서 5명의 근로자가 숨졌다.
100대 건설사 사망사고와 관련된 하도급사는 안송건업, 승주건설, 장원기전, 현영건설 등 15개 사다.
3분기 중 사망사고가 발생한 공공공사의 발주청은 20개 기관으로 사망자는 22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2명 증가했다.
민간공사에서 발생한 사망자는 39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7명 감소했다. 사망자가 가장 많았던 인·허가기관은 아산시로 3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국토부는 3분기 사망사고가 발생한 대형건설사와 관련 하도급사에 대해 12월까지 특별점검을 실시할 계획이다.
4분기 연속으로 사망사고를 낸 디엘이앤씨 등 사고 발생 빈도가 높은 업체는 점검인력을 확대 투입해 강도 높은 집중 정밀점검을 실시할 예정이다.
국토부 측은 "최근 대형 건설사고가 발생해 큰 인명피해가 발생한 점, 3분기 들어 사망사고가 증가한 점 등을 고려해 유사사고가 우려되는 다른 건설사의 건설현장도 면밀하게 점검할 계획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