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미라 기자] 정부가 7개 지자체와 12개 지방투자기업에 '지방투자 촉진 보조금' 437억원을 지원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17, 18일 2022년 제4차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심의위원회를 개최해 이와 같이 결정했다고 22일 밝혔다.
지방투자촉진보조금제도는 수도권 기업의 지방 이전 및 지방 소재 기업의 신‧증설 투자에 대해 정부와 지자체가 투자금액의 일부를 보조금으로 지원하는 것.
산업부는 올해 4차례 심의위원회를 개최해 총 10개 지자체, 62개 투자기업에 3,439억원의 지방투자촉진보조금을 지원하게 된다. 이에 따라 향후 3년간 지방에 약 2조6천억원의 민간투자와 3,500개 이상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되는 효과가 예상된다고 산업부는 밝혔다.
이러한 실적은 전년과 대비해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수혜기업의 민간투자는 약 9천억원(52.9%), 일자리는 225개(6.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올해 지방투자촉진보조금을 통해 산업위기대응지역의 대규모 투자를 통한 지역활력 회복, 반도체·전기차 분야 대규모 투자지원을 통한 지역 내 첨단전략산업의 육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구체적으로는 군산, 거제 등 산업위기대응지역 내 민간투자금액이 3,847억원으로 2021년 1,408억원 대비 2,439억원이 증가했다. 이 중 300억원 이상의 대규모 민간투자는 지난해 1건 대비 5건으로 크게 증가했다.
국가 첨단전략산업에 해당하는 반도체·전기차 관련 분야도 전체 62개 기업 중 13개사에 지원이 결정돼 핵심산업의 공급망 안정과 지역내 첨단산업 육성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산업부는 매년 지자체별 1년간 투자유치실적, 신규일자리 창출 등 지방투자촉진사업의 성과를 평가해 혜택을 부여하는 '투자유치 우수 지자체'로 올해에 부산시, 충북도, 경북도 3곳을 선정했다.
선정된 지자체에는 내년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신청 건에 대해 인센티브를 부여해 국비 보조(매칭)비율 5%p를 상향 지원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