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애영 기자] 여성가족부와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은 22일 오후 2시 온라인으로 '2023년 지방자치단체 청소년안전망 선도사업 설명회'를 개최한다.
이날 설명회는 지자체의 청소년안전망 운영 우수사례와 사업 성과를 공유하고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지자체가 주도하는 청소년안전망팀 사업은 2020년 9개소를 시작으로 2021년 14개소, 지난해 20개소에서 운영되고 있다. 올해는 경기도 안산시와 전라남도 순천시가 신규로 참여해 현재 총 22개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한다.
지자체 청소년안전망팀에는 위기청소년 전담공무원과 청소년통합사례관리사를 배치해 전담조직을 구성하고 위기청소년 발굴과 지원기관 연계, 지역 위기청소년 실태조사 등을 추진하고 있다.
경기도 군포시의 경우 청소년 관련 전공자나 위기청소년 지원 활동 경력이 있는 시민을 교육해 위기청소년 전담 상담가(멘토)로 양성하고 위기청소년 1대 1 상담 사업을 통해 학교와 일상생활 전반의 밀착형 생활지원과 개인별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했다.
경상남도 김해시에서는 청소년안전망에 의뢰된 사례관리 대상 중 경제적 어려움과 학교 부적응 등으로 학업 수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위기청소년에게 심리상담과 함께 도배, 장판, 조명, 가구교체 등 주거 환경 개선을 추진했다.
여가부는 청소년 인구수, 위기청소년 수, 조직역량 등 지역 현황과 지자체의 수요 등을 고려해 신규 운영기관을 선정하고 있다. 운영기관으로 선정 시 사업비와 운영비 등을 국비로 지원한다. 또한 청소년안전망팀을 운영하는 지자체는 '지방자치단체 합동평가' 시 가점이 부여된다.
김권영 여가부 청소년정책관은 "청소년의 심리·정서적 위기상황 해소를 위해서는 조기발굴과 신속한 맞춤형 지원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다양한 지역자원을 연계해 위기청소년을 신속하게 발견하고,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청소년안전망팀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