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홍선화 기자] 올해부터 2026년까지 비수도권 지역에서 30개 내외의 글로컬대학을 지정해 1곳당 5년간 1천억원을 지원한다.
교육부와 글로컬대학위원회는 18일 ‘글로컬대학30 추진방안’을 확정 발표한다.
글로컬대학은 지역의 산업·사회 연계 특화분야에서 세계적 경쟁력을 갖추고 혁신을 선도하는 대학이다.
글로컬대학위원회와 교육부는 올해 10개 내외 대학을 시작으로 2026년까지 30개 내외 대학을 글로컬대학으로 지정해 지원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6월 중 예비지정 대학 15개교 내외를 발표한다. 예비지정 대학의 혁신기획서는 교육부 누리집에 전부 공개한다. 예비지정에서 탈락한 경우도 공개에 동의한 대학의 혁신기획서는 함께 공개할 계획이다.
예비지정 대학은 약 3개월의 준비기간 동안 지자체, 지역 산업체와 공동으로 혁신기획서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수립해 광역지자체를 통해 제출해야 한다.
실행계획서는 대학, 지자체, 지역 산업체 간 역할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각각의 인적‧물적 자원을 어떻게 연계해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실행 가능한 계획이 구체적으로 포함돼야 한다.
대학 구성원 간의 충분한 논의와 동의도 중요한 요소로 실행계획서 제출 시 대학의 혁신 방향 및 계획에 대한 대학 구성원 의견수렴 결과를 함께 제출하도록 할 계획이다.
글로컬대학위원회와 교육부는 실행계획서에 대한 본지정 평가위원회의 평가와 글로컬대학위원회의 최종 심의를 거쳐 9월 말 10개교 내외를 글로컬대학으로 지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글로컬대학으로 지정되면 약 5년간 1천억원을 지원받게 된다. 글로컬대학은 지방대육성법에 따라 특성화 지방대학으로 지정된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글로컬대학이 학과 간 벽, 대학과 지역사회 간 벽, 해외와의 벽 등을 허물고 지역과 대학의 동반성장을 이끌 수 있도록 정부도 과감한 규제혁신과 재정지원으로 뒷받침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