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지연 기자] 신호가 부족한 곳에 차량접근을 미리 알려주는 스마트 신호등, 독거노인의 일상을 돕는 인공지능(AI) 반려인형...
행정안전부는 4월 26일부터 5월 19일까지 ‘디지털타운 조성사업’ 공모를 진행해 8개의 지자체를 선정한다고 밝혔다.
올해는 인구감소지정 지역 대상 생활인구 유입(6종), 구도심·농어촌 지역의 주민 생활 여건 개선(7종) 2개 분야를 지원할 계획이다. 지자체는 행안부에서 권고한 13종의 서비스 중 지역의 실정을 반영해 2종 이상의 서비스를 묶어서 제공할 수 있다.
행안부는 공모로 선정된 8개 기관에 총 75억 원을 배분할 예정이다. 의무분담 비율도 전년도 50%에서 20%로 완화해 재정여건이 어려운 지자체를 지원할 방침이다.
지자체가 비용을 추가로 분담할 경우에는 새로운 서비스를 도입하거나 다른 사업을 제안하는 것도 가능하다.
대상 지자체는 서면심사와 발표평가를 거쳐 6월 최종 선정된다. 이후 전문가 자문을 통해 사업계획을 보완해 하반기부터 본격 추진된다.
행안부는 내달 3일 전국 시‧군‧구 지자체 담당자를 대상으로 공모 설명회가 개최된다.
디지털타운 조성사업은 2019년부터 시작된 후 17개 지자체를 지원해 왔다. 사업을 통해 교통 신호가 부족한 곳에 차량접근을 미리 알려주는 스마트 신호등, 독거노인의 일상을 돕는 인공지능(AI) 반려인형, 인공지능이 농작물의 생육환경을 관리해주는 스마트팜 등을 보급해 왔다.
전종태 지역디지털서비스과장은 “인구밀집도가 낮은 농어촌 등의 지역 특성상 디지털기술 활용 시 적은 예산으로도 생활 여건이 크게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