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재 기자] 산불에 신속히 대응하고 우리 생활에 필요한 목재를 생산하기 위해 임도의 지속적인 확충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산림청 산림산업 경쟁력과 산림재해 대응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제5차 전국임도 기본계획(2021~2030)'을 수립해 핵심 기반시설인 임도 확대와 체계적인 관리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임도는 산불이 발생하는 초기 발화지점에 진화인력과 차량이 신속하게 접근해 대형산불로 확대되기 전에 초동·야간 진화를 가능하게 한다.
미국 내 대형산불이 발생한 국유림을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임도의 밀도가 낮은 지역에서 연료의 연속성이 높아 대규모 산불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산불의 피해 규모와 임도의 상호 관계를 분석한 연구에서는 임도로부터 거리가 1m 멀어질수록 산불 피해 면적이 1.55m2씩 증가한다고 보고됐다.
우리나라와 산림 여건이 유사한 핀란드는 국토의 60%가 산림, 침엽수림이 약 50%다. 약 13만km 이상의 임도 개설로 진화인력과 장비 접근성을 향상해 산불 피해면적을 건당 0.4ha으로 감소시켰다.
아울러 임도 확충으로 이용가능 산림면적은 약 5~8배 증가한다. 임도밀도가 10m/ha에서 20m/ha로 높아지면 기계화 목재생산을 통해 집재비의 약 35~47%가 절감돼 산림자원 순환경영에 기여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국립산림과학원 황진성 박사는 “산불의 효율적 예방과 진화를 위한 임도의 시설기준, 산불과의 상호 관계 등 관련 연구를 지속 추진해 나가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