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부산광역시, 천안시, 전남 담양군에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도시계획이 수립된다.
국토교통부는 부산광역시, 천안시, 담양군이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도시계획 연구개발(R&D)(이하 AI 도시계획 R&D)’ 기술 시범적용을 위한 실증사업 대상 지자체로 최종 선정됐다고 17일 밝혔다.
AI 도시계획 R&D는 이동통신, 신용카드 매출액, 교통량, 읍면동 단위 인구이동, 위성영상 등 다양한 빅데이터와 AI로 생활권 설정, 토지이용, 기반시설 수요 예측 등을 수행해 최적의 도시계획 수립을 지원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사업이다.
이번 실증을 통해 부산은 신용카드, 이동통신, 보행 네트워크 데이터 등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15분 생활권을 나눠 생활 SOC(사회간접자본)의 최적 입지를 선정한다. 15분 생활권은 행정구역 중심의 생활권을 개인형 이동수단이나 보행환경을 고려해 구분한 것.
천안시는 통신·교통 데이터를 활용해 통근·통학 등의 생활인구를 추정하고 주변도시 수요를 반영한 광역기반시설을 설치한다.
담양군은 신용카드, 이동통신, 고속도로 통행량 등을 분석해 관광자원 유발인구와 인근 도시와 연계된 체험·관광인구를 추정한다. 이를 도시계획 수립에 활용해 인구감소를 극복하는 강소도시 조성을 추진한다.
국토부 길병우 도시정책관은 “이번 기술 실증은 빅데이터와 AI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한 도시계획의 수립을 통해 다양한 도시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며 “기술의 개발에 그치지 않고,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계속 연구해 나갈 것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