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애영 기자] 성착취 위험에 노출된 아동·청소년 862명이 성매매 피해 아동‧청소년 지원센터를 통해 보호와 피해 지원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와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은 '2022년 성매매 피해아동·청소년 지원센터' 운영 연차보고서를 31일 발표했다.
지원센터는 법률에 따라 2021년부터 성매매 피해 아동·청소년에게 상담 및 심리, 의료, 법률, 치료‧회복 등 건강한 사회복귀를 위한 통합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862명의 피해아동‧청소년이 지원센터에서 총 2만1371건의 상담, 의료‧법률, 자립‧자활 등 통합서비스 지원을 받았다. 이는 전년 대비 각 18.6%, 70.7% 증가한 수치다.
피해자 성별은 여성 847명(98.3%), 남성이 15명(1.7%)이었다. 피해자 연령은 14~16세가 393명(45.6%)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17~19세가 314명(36.4%), 10~13세가 53명(6.2%)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피해자는 65명(7.5%)으로 2021년 47명 대비 약 1.4배 증가했다. 피해를 입게 된 경로는 채팅앱 423명(49.1%), 사회관계망서비스(SNS) 248명(28.8%) 주로 온라인을 통한 피해가 많이 발생했다. 주요 알선 고리는 친구·지인인 경우가 234명(27.1%)으로 가장 높았다.
지난해 253명(29.4%)의 아동·청소년이 수사기관의 연계로, 158명(18.3%)은 성매매 방지기관, 138명(16.0%)은 청소년 지원·전문 상담기관 등을 통해 지원센터를 찾았다.
지원센터는 장애인 65명을 포함해 총 862명에게 상담 1만4576건(68.2%), 법률지원 2586건(12.1%), 심리지원 1399건(6.5%) 등 총 2만1371건의 서비스를 지원했다.
최성지 여가부 권익증진국장은 “성착취 피해 아동·청소년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고 아동·청소년이 성착취 위험에 노출되지 않도록 온라인 환경개선 등 정책적 노력을 다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