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애영 기자] 정부가 청소년의 의식, 태도, 생활 등의 실태를 파악해 청소년 눈높이에 맞는 정책 추진에 나선다.
여성가족부는 7월 7일부터 9월 3일까지 '2023년 청소년종합실태조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청소년종합실태조사는 청소년기본법에 따라 3년마다 실시하는 국가 승인 통계로 전국 5천 가구의 주 양육자와 9세에서 24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다.
조사방법은 전문조사원에 의한 가구방문 면접조사로 진행된다. 조사원은 표본대상 가구 방문 시 반드시 조사원증을 패용한다. 대상 가구에서는 조사원증과 조사 협조공문, 조사용품 등을 통해 조사원 신분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번 조사에서는 청소년의 의식·생활·태도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내용 구성의 기본틀은 유지하되 시대변화에 따른 청소년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문항을 추가한다.
특히 지(Z)세대의 성장 환경과 특성을 고려한 디지털 기술발전에 따른 삶의 변화, 어떤 선택이나 결정을 할 때 자신의 이성과 판단에 의지하는 정도를 의미하는 자기의존지향성, 코로나19 이후 심리·정서적 문제로부터 회복할 수 있는 회복탄력성 등을 신규 문항에 추가했다.
여가부는 조사된 응답내용을 '9세~12세', '13~18세', '19~24세' 연령대별로 나눠 분석한다.
박난숙 여가부 청소년가족정책실장은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특성과 다양화된 정책 수요를 발굴해 청소년들이 존중받으며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