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박미라 기자] #피해자A는 얼마 전 OO카드 콜센터 직원으로부터 전화 한통을 받았다. 직원은 A에게 본인인증을 위해 필요하다며 ARS 음성 안내멘트를 통해 비밀번호 앞 두 자리를 입력하라고 요구했다. 곧이어 A는 피해자 명의로 핸드폰이 개통됐다는 SMS 문자메시지를 받았고 은행계좌에서 피해금이 인출된 사실을 알았다.
#평소 해외직구를 사용해 물품을 구매하던 피해자B는 사기범이 전송한 해외구매 승인내역 문자메시지에 기재된 구매내역 확인 링크를 클릭했다. 이어 피해자 핸드폰에 악성 앱이 설치됐는데 핸드폰에 저장된 신분증을 포함한 개인정보가 유출돼 비대면 대출승인, 계좌이체 등을 통해 재산상 피해를 입었다.
#피해자 C는 결혼식에 초대한다며 모바일 청첩장 링크가 포함된 가짜 문자메시지를 받았다. C가 해당 문자메시지에 기재된 URL주소를 클릭하자 휴대폰에 악성앱이 설치됐고 이후 피해자 명의로 비대면 대출을 받은 것을 알았다.
금융위원회는 카드사 사칭 비밀번호 요구, 해외결제 빙자 스미싱, 가족납치 명목 금전요구 등 여름 휴가철을 앞두고 예상되는 보이스피싱 사례 및 대처요령을 민관합동 대응체계를 통해 전 금융권에 전파한다.
금융당국은 청첩장·돌잔치 초대장을 가장한 보이스피싱을 비롯해 금융회사 유튜브·카카오톡 채널 사칭, 택배회사 혹은 정부정책을 빙자한 보이스피싱 등 신종 사례를 소개하며 소비자 피해 예방에 나서고 있다.
사례로 유튜브에서 은행직원을 사칭해 금융상품을 홍보하는 것처럼 가장한 후 은행을 사칭한 피싱사이트로 연결시켜 자금을 편취한 경우다. 사기범은 피싱사이트에 예·적금 가입시 필요하다며 연락처, 은행 계좌정보 등 개인정보를 입력하도록 하고 예치금을 가상계좌에 입금하도록 유도했다.
금융위는 "신속대응체계를 통해 신종사기 정보수집을 강화하고 사기수법 내용, 사안의 시급성과 피해규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유형별 신속전파, 금융권 공동 대처, 종합대책 수립으로 신종사기에 대응해 나가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