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전국 13개 대학에서 직업훈련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열린다.
고용노동부와 직업능력심사평가원은 1일부터 전국 13개 대학에서 70개 신규 훈련과정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번 과정들은 대학이 보유한 교수진, 전문시설, 장비 등 인적·물적 역량을 활용한 훈련과정으로 지난 5월부터 진행한 공모를 통해 선정됐다.
우선 지역산업 수요를 기반으로 필요 직무를 중심으로 설계된 과정이 눈에 띈다. 부천대의 '반도체 공정 장비 유지보수 엔지니어 과정', 경기과학기술대의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제어 관련 과정 등이 대표적이다. 서정대, 평택대 등은 최근 미디어 환경변화를 고려해 SNS를 활용한 홍보마케팅, SNS 적합 콘텐츠 제작 등의 과정을 개설했다.
상지대는 기존 조경관리 관련 과정에 IoT(Internet of Things) 기술을 융합했다. 특히 상지대 목공예기능사 과정은 대학의 시설, 장비, 인력을 활용한 점이 눈에 띈다. 백석대는 경호학과와 연계해 기존 훈련시장에서는 희소한 신변보호사 국가자격 취득과정을 운영한다.
권태성 고용노동부 직업능력정책국장은 "지역 거점 대학이 직업훈련에 적극 참여해 양질의 훈련공급이 확대하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