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인수 기자] 올해 처음 실시한 일반수소발전 경쟁입찰 결과 경쟁으로 인해 발전단가가 10% 인하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소발전 입찰시장 관리기관인 전력거래소는 9일 2023년 상반기 일반수소발전 경쟁입찰 결과를 발표했다.
전력거래소는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회 및 수소발전입찰시장위원회 의결을 거쳐 715GWh(기가와트시), 5개 발전소를 최종 낙찰자로 결정했다.
앞서 전력거래소는 지난 6월 9일 입찰공고 진행해 73개 발전소(43개사)가 3,878GWh(518MW) 규모로 입찰에 참여했다. 경쟁률은 5.97대 1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입찰결과 발전기술 간 경쟁으로 인한 발전단가 인하 효과가 발생했다고 보고 있다. 과거 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화 제도(RPS)와 비교할 때 낙찰된 평균 입찰가격이 약 10% 정도 낮아진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전기가 필요한 수요지에 발전소가 들어서는 분산형 전원 설치가 유도되는 효과도 발생했다. 선정된 발전설비 용량은 40MW 미만으로 전기사업법에 따른 분산형 전원 기준에 부합했다. 발전소도 전력수요 대비 공급이 부족한 수도권, 광역도시 등 수요지 인근에 위치한 발전소로 선정됐다.
산업부 이옥헌 수소경제정책관은 "수소발전 입찰시장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 분산형 발전 등 수소발전이 가진 장점이 발휘되고 우리나라 산업·경제 활성화에 기여해 나가길 기대한다"고 했다.
산업부는 이번 입찰 시 미비한 점을 보완해 8월 말 하반기 입찰시장을 개설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