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지난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일감부족을 겪어왔던 원전 중소·중견기업들을 위해 8천억원 규모의 대규모 수출일감이 풀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9일 한전 아트센터에서 '원전 수출일감 통합 설명회'를 개최하고 총 104개 품목 8천억원 규모의 해외사업 기자재 발주계획을 발표했다.
정부는 원전생태계의 완전한 정상화를 위해 △신한울 3·4호기 건설재개, △원전 10기 계속운전 추진, △2023년 3조5천억원 규모 일감공급, △2천억원 규모 금융지원과 인력양성 방안 마련, △소형모듈원전(SMR) 기술개발 및 산업기반 구축, △고준위 방폐물 특별법 마련 등 전 정부 차원의 정책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산업부와 한국수력원자력은 발주속도를 높여 대규모 수출일감을 국내 원전산업계에 조속히 공급하고 해외사업 참여에 대한 기업의 부담을 낮춰 국내 원전생태계 복구를 총력 지원할 방침이다.
우선 이집트 엘다바 사업 기자재 발주를 오는 10월부터 시작해 내년 6월까지 지속 공급한다. 발주 후 6개월 내 계약을 체결하는 것이 목표다. 루마니아 삼중수소제거설비 사업은 오는 11월부터 발주해 내년 12월까지 계약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이집트 엘다바 사업과 루마니아 삼중수소제거설비 사업은 각각 6900억원, 1100억원 규모로 품목은 각각 81개, 23개다.
아울러 한수원 협력업체 215개사에 대해서는 해외사업 유자격 심사를 면제해 사실상 '한수원 해외사업 유자격공급사 자격'을 부여한다.지금까지는 한수원 해외사업 참여를 위해 경영, 품질, 기술 3개 분야 심사를 통과해야 입찰 참여가 가능했다.
또한 기술·품질기준에서는 국내 원전 기업의 참여 확대를 위해 발주국의 요구사항 보다 완화된 기준을 인정해 취득을 지원한다. 1개 회사당 최대 1억5천만원의 인증 취득비용과 선급금 15%, 계약금의 최대 80% 융자 등도 지원해 국내기업의 해외사업 참여 부담을 대폭 낮추기로 했다.
강경성 2차관은 축사를 통해 "2023년이 원전 생태계 정상화의 원년이 되도록 총력을 다해 지원하겠다. "2027년까지 5조원 규모 해외 원전설비 프로젝트 수주, 2030년까지 10기 원전 수출 목표 달성을 위해 민관이 함께 노력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