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최근 방글라데시를 방문한 한국인이 뎅기열에 감염됐다가 현지 병원에 입원 중 숨졌다.
질병관리청과 외교부는 1일 동남아, 중남미 등 뎅기열 유행국가 재외국민과 해당 지역을 방문 예정인 국민에게 뎅기열 발생동향 및 예방수칙 등을 안내했다.
이번에 사망한 사례는 방글라데시 현지 거주자가 아닌 사업 목적으로 방글라데시, 아프리카를 자주 방문한 우리 국민으로 지난달 22일 증상발현 후 현지 병원에 입원했으나 2일 뒤인 24일 사망했다.
뎅기열은 뎅기 바이러스에 감염된 매개모기인 이집트숲모기·흰줄숲모기에 물려 감염된다. 5~7일의 잠복기 후 발열, 두통, 오한, 근육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감염병이다. 아직까지 효과적인 백신과 치료제가 없어 모기물림 방지 등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
현재까지 우리나라 자체 발생은 없고 대부분 유행국가 방문 후 감염됐다. 올해 뎅기열 환자는 8월 26일 기준 107명으로 전년 동기간 대비 3.2배 증가했다. 주요 감염국가는 인도네시아, 필리핀, 태국, 베트남, 라오스,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지역이 많았다. 다만 현재까지 신고된 환자 중 뎅기열로 사망한 사례는 없었다.
뎅기열은 재감염 시 치명률이 급격하게 높아지므로 뎅기열 감염력이 있거나 유행지역에 자주 방문하는 경우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뎅기 바이러스는 총 4개의 혈청형이 있는데 재감염 때 다른 혈청형에 감염되면 뎅기출혈열·뎅기쇼크증후군 등 중증 뎅기열로 진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치사율은 약 5%에 달한다.
뎅기열 위험국가에 체류 중이거나 방문 예정인 국민은 뎅기열 예방을 위해 모기기피제·모기장 등 모기 기피용품을 준비하고 외출 시 밝은색 긴 옷 착용, 모기 기피제 3~4시간 간격 사용 등을 통해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7월부터 11월까지 인천, 김해, 부산, 평택 등 주요 국립검역소에서 무료로 뎅기열 선제검사를 제공하고 있다. 입국 시 현지에서 모기에 물린 기억이 있거나 뎅기열이 의심되는 경우 검사를 받아볼 것을 권고드린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