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인수 기자] "전기차충전소 이용 시 작동 오류의 원인이 전기차인지 충전기인지 확인할 수 없고 제조사별로 표시방법이 서로 달라 불편이 발생해 왔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국민 생활편의 향상과 사회적 약자 배려를 위한 표준 개발을 추진할 계획임을 1일 밝혔다.
국표원은 국민 참여를 통한 생활표준 개발을 위해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지난 5월부터 4개월 간 수요조사를 실시했다. 총 572건의 제안이 접수됐는데 생활용품 규격 통일화(227건, 40%)와 제품‧서비스 성능 개선(142건, 25%) 등에서 높은 관심이 드러났다.
접수된 제안에 대해 표준화 필요 여부 조사와 분야별 전문가 검토를 거쳐 표준화 타당성과 시의성이 높은 19건의 과제를 도출했다.
이 중 전기차 충전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오류 표시 내용을 통일화해 전기차와 충전기의 고장 여부 확인이 어려웠던 불편을 해소한다. 또한 그동안 층간소음, 낙상방지 등을 위해 가정용 매트가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제품의 품질과 성능을 알 수 있는 기준이 없어 매트충격·소음흡수 성능과 평가방법을 표준화한다. 개인형 이동수단 플랫폼 서비스의 품질 제고를 위해 서비스 절차와 품질관리에 대한 표준화도 추진한다.
최종 선정된 표준화 과제에 대해서는 11월부터 이해관계자의 의견수렴을 거쳐 표준안 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다.
국표원 진종욱 원장은 "표준은 산업발전과 기술개발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생활의 편의를 향상하는 수단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며 "국민과의 소통을 통해 일상의 편의를 향상하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표준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것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