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선아 기자] 우리 국민은 건설·주택·토지 분야에서 가장 부패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권익위원회는 2023년 공직사회·사회전반에 대한 부패인식도를 조사한 결과를 16일 발표했다.
지난해 조사는 일반국민 1400명, 기업인 700명, 전문가 630명, 외국인 400명, 공무원 1400명을 대상으로 6월, 10월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됐다.
'공무원이 부패하다'는 응답은 국민(38.3%)과 기업인(38.3%)이 가장 높았고 전문가(31.6%), 외국인(10.3%), 공무원(2.4%)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각각 38.6%, 29.6%, 33.7%, 11.8%, 3.3%와 비교하면 기업인을 제외한 모든 조사대상에서 '공직사회가 부패하다'는 인식은 전반적으로 개선됐다.
11개 행정분야별로는 일반국민·기업인·전문가·공무원 모두 '건설·주택·토지' 분야가 가장 부패하다고 평가했고 '소방' 분야가 가장 청렴하다고 응답했다. 건설·주택·토지 분야의 경우 2021년 건설 관련 공공기관에서 내부정보를 활용한 부동산 취득 등 대형 부패사건 발생 이후 3년간 가장 부패한 행정분야로 조사됐다.
이와 함께 사회전반에 대한 부패인식 조사에서는 '우리 사회가 부패하다'는 응답은 국민(56.5%)이 가장 높았다. 이어 전문가(42.9%), 기업인(38.7%), 외국인(12.3%), 공무원(7.9%) 순으로 나타났다. 전년 각각 54.4%, 36%, 39%, 13.5%, 8%와 비교하면 공무원, 외국인을 제외한 조사대상에서 '우리 사회가 부패하다'는 인식이 높아졌다.
11개 사회분야별로는 국민·기업인·전문가는 '정당·입법' 분야, 외국인은 '종교단체', 공무원은 '언론' 분야를 가장 부패하다고 평가했다. 반면 국민·기업인·전문가·외국인은 '교육 분야, 공무원은 '행정기관'을 가장 청렴한 사회분야로 평가했다.
권익위 정승윤 부위원장 겸 사무처장은 "일반국민이 바라보는 우리 사회 전반에 대한 부패수준은 여전히 부정적으로 인식되고 있다"며 "공직사회를 넘어 사회 전반에서도 국민들의 눈높이에 맞는 반부패·청렴 문화를 지속 확산시켜 나갈 예정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