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지연 기자] 정부는 국민이 복지제도를 몰라서 신청하지 못하는 사례를 방지하기 위해 복지멤버십으로 안내하는 복지서비스를 늘린다.
보건복지부는 올해부터 복지멤버십 가입자에게 안내하는 80종의 중앙부처 복지사업에 3종을 추가한다고 22일 밝혔다.
복지멤버십은 국민이 받을 수 있는 복지서비스를 안내해 주는 제도로 가입자의 소득·재산 등을 자동으로 분석해 복지서비스를 추천한다.
이번에 노인·장애인 응급안전안심서비스, 일상돌봄서비스, 청소년부모 아동양육비 지원 3종이 추가돼 복지멤버십으로 안내하는 복지서비스는 전체 83종으로 확대된다.
이와 함께 복지부와 서울시는 복지멤버십 제도를 통해 서울시 복지서비스도 제공한다. 앞으로 서울시에 거주하는 복지멤버십 가입자 147만 명은 서울형 기초보장제도, 장애인버스요금지원, 뇌병변장애인 대소변흡수용품 지원사업 등 복지서비스 6종도 안내받게 된다. 수급 가능성이 확인되면 문자메시지, 복지로 앱 등을 통해 안내받게 된다.
복지부 임을기 복지행정지원관은 "복지멤버십 안내서비스 확대로 복지제도를 몰라서 혜택을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가 축소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복지멤버십은 복지로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하거나 주소지와 관계없이 가까운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하면 언제든 가입할 수 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