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용인 첨단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가 2030년 말부터 가동에 들어가기 위해 속도를 높인다.
국토교통부와 환경부, 산업통상자원부는 17일 오전 서울에서 경기도, 용인시, 평택시,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삼성전자와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의 성공적 조성 추진을 위한 상생협약을 체결했다.
협약내용은 반도체 공장의 원활한 입주를 위해 평택의 송탄 상수원보호구역을 해제하고 산업단지와 인근 지역에 용수를 적기에 공급하는 방안 등을 포함했다.
상생협약서 체결 후 사업시행자인 LH는 곧바로 산업단지계획 승인을 국토부에 신청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2030년 말부터 공장을 가동하기 위해 관련 절차를 대폭 앞당겨 추진하고 있다. 후보지 발표 이후 단계별 용역 통합발주,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등으로 조성 속도를 높였다.
환경영향평가는 사전컨설팅과 패스트트랙 운영으로 신속히 추진하고 토지 보상기간도 줄일 수 있도록 토지 보상 착수를 위한 해당 토지의 사전 조사와 주민 협의를 계획 수립 단계부터 병행한다.
이를 바탕으로 부지조성 착공까지 기존에 7년 이상 걸리던 것을 3년 6개월로 반절 이상 단축할 예정이다.
국토부 박상우 장관은 "용인 국가산단은 관계부처, 지자체, 기업이 원팀으로 협력해 2026년 부지 착공을 목표로 신속하게 추진하고 있다"고 했다.
산업부 강경성 차관은 "용인 국가산단, 용인 일반산단, 평택 고덕산단 등을 중심으로 622조원이 투자될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가 우리나라를 넘어 전 세계 반도체 산업의 허브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