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집배원이 사회적 고립가구를 주기적으로 방문해 안부를 확인하는 시범사업이 실시된다.
행정안전부 스마트복지안전공동체추진단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정사업본부는 5월부터 15개 지자체와 함께 '안부살핌 우편서비스 시범사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안부살핌 우편서비스 사업은 전국 인프라망을 가진 우체국 인적네트워크(집배원)를 활용해 지역 내 사회적 고립가구의 고독사 위험요인을 사전에 파악하기 위해 마련됐다.
앞서 행안부는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사업 추진을 위한 공모를 진행해 서울 강남구, 부산 동래구·사상구·서구·해운대구, 대구 동구, 울산 울주군, 충남 홍성군, 전북 남원시·장수군, 경북 고령군·성주군, 경남 거창군·고성군·창녕군을 선정했다.
15개 지자체는 중장년층 1인가구, 고립청년, 조손가구 등 주기적으로 안부확인이 필요한 위기가구를 선정해 라면, 티슈 등 필요한 생필품을 지자체별로 1주에서 4주 단위로 배송한다.
이 때 우체국 집배원이 물품 배달과 함께 대상자의 생활 실태를 파악해 위기상황 발생 시 신속히 지자체에 전달해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번 안부 살핌 우편서비스 시범 사업은 올해 연말까지 진행된다.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선정된 지자체에 국비를 지원하고 우정사업본부는 물품구입에 소요되는 비용을 지원한다.
구본근 스마트복지안전공동체추진단장은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사회적 고립가구에 대한 주기적 안부확인으로 고독사 위험요인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