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한별 기자] 앞으로 초중등 학교의 행정업무가 대폭 경감될 전망이다. 온라인 출결관리시스템일 구축되고 미취학 아동에 대한 소재·안전 확인 관리는 교육지원청에서 맡게 된다. 그간 일선 학교에서 담당해 왔던 교육환경 보호구역 현황 조사 및 실적보고 업무는 2학기부터 실시하지 않는다.
교육부는 24일 교원이 학생 교육과 생활지도 등 교육활동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기 위해 '학교 행정업무 경감 및 효율화 방안(안)'을 발표했다.
우선 학교 현장에서 수업 준비나 평가, 출석관리 등이 여전히 수기 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개선하기 위해 온라인 시스템을 활용한다. 오는 9월 4세대 나이스, 케이(K)-에듀파인 고도화 등과 함께 온라인 출결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학교 회계 예·결산서는 교육청이 일괄 공개한다.
모든 학교 관계자가 디지털 기술을 업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튜터, 기술전문가 등을 확대하고 교사 맞춤형 에듀테크 개발을 위해 8억원 내외를 지원한다.
그간 학교 업무 담당자가 업무 관련 매뉴얼을 쉽게 찾아볼 수 없어 업무 기피와 구성원 간 갈등이 증가해 왔다. 하반기 경력‧보직, 업무 분야 등을 고려한 업무 매뉴얼을 학교 플랫폼에 일괄 게시해 담당자가 언제든지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학교 행정업무 부담도 완화한다. 그간 일선 학교에서 담당해 왔던 교육환경 보호구역 현황 조사, 순회 점검, 실적보고 업무는 2학기부터 실시하지 않고 교육(지원)청 중심으로 조사 점검할 예정이다. 학교는 필요시 자율적으로 점검하게 된다.
학교의 1차 독촉에도 계속해 취학하지 않는 미취학아동에 대한 후속 취학관리는 교육(지원)청 '취학관리 전담기구'에서 담당해야 하지만 그간 학교 현장에서 상당수의 취학관리 업무를 수행해 왔다. 전담기구에서 취학관리 전담기구 정상화를 통해 미취학아동에 대한 소재·안전 확인 및 취학 관리 역할을 강화하도록 했다.
이와 함께 하반기부터 '함께학교 플랫폼' 내에 학교 행정업무 경감 소통 채널을 별도로 구축해 학교 현장에서 발생한 교직원 간 업무 갈등을 빠른 시일 내에 조정하고 교직원 간 소통을 강화한다.
이외에도 그간 교육정책 발표 시 학교 현장의 행정업무 증감에 대한 고려가 부족했다는 현장 의견을 반영해 교육정책을 발표하기 전 행정업무 영향평가를 통해 학교 행정업무 증가 여부를 의무적으로 확인하도록 했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이번 방안이 현장 소통을 통해 마련된 만큼 학교의 실질적 업무경감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전폭적인 지원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