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여름철 재난인 고수온과 적조로 인한 양식수산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올해 고수온 예비특보 기준을 28℃에서 25℃로 낮춰 어업인들이 준비할 수 있도록 한다.
해양수산부는 이러한 내용의 '2024년 고수온·적조 종합대책'을 수립해 시행한다고 10일밝혔다.
국립수산과학원에 따르면 이번 여름 우리나라 수온은 평년보다 1℃ 내외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에는 7월 28일 고수온 특보(주의보)가 첫 발표됐는데 올해는 작년보다 비슷하거나 조금 이른 시기에, 적조는 올해 7월 말 이후 주의보가 발표될 것으로 전망했다.
해수부는 올해 고수온 예비특보 발표기준을 수온 28℃에서 25℃로 낮춰 어업인들이 장비 점검, 양식장 관리요령 숙지 등 사전에 준비할 수 있는 기간을 충분히 확보하도록 할 계획이다.
올해부터는 재난보험금 수령액이 재난지원금보다 적은 경우 그 차액을 '재난지원금'으로 지급한다. 어업인들은 무사고 기간에 따라 보험료 할인을 받을 수 있다. 저층수 이용시설을 보유하거나 낮은 밀도로 양식하는 경우 고수온 특약 보험료를 5% 할인받을 수 있다. 향어, 메기, 전복종자의 재해보장도 확대된다.
해양수산부와 지자체는 고수온·적조가 본격적으로 발생하기 전 액화산소통 등 장비를 양식장에 신속히 보급하고 현장점검을 통해 준비상황을 점검할 예정이다.
아울러 해수부와 지자체는 고수온 적조로 어가 피해가 발생하면 피해복구와 어류 폐사체 처리를 지원하고 매년 실거래가를 조사해 관계부처와 협의 후 피해복구 단가를 현행화하고 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