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재 기자] 환경부와 국토교통부가 개발제한구역 중 보존 가치 높은 백두대간과 정맥 300미터(m) 이내 훼손된 지역을 체계적으로 복원 관리하기 위해 힘을 모은다.
환경부와 국토부는 개발제한구역 내 핵심생태축 복원 추진상황 점검을 위해 11일 '환경-국토 정책협의회' 4차 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협의회에서는 5대 협업과제 중 하나인 개발제한구역 핵심 생태축 복원사업 진행사항을 점검하고 내년도 사업대상 후보지 선정방안, 신속한 행정절차 이행방안 등에 대해 집중 논의한다.
협의회 협업과제는 용인 반도체 산단 신속조성, 해안권개발과 생태관광 연계, 국토-환경계획 통합관리, 개발제한구역 핵심생태축 복원, 시화호 발전전략 종합계획(마스터플랜)수립을 담았다.
두 부처는 개발제한구역 중 보존가치가 높은 백두대간과 정맥 300m 이내 훼손지의 친환경적 복원을 전략적 협업과제로 선정한 바 있다.
구체적으로는 국토부가 개발제한구역내 토지를 매수하면 환경부는 매수된 지역의 훼손된 자연환경의 구조와 기능을 복원하는 방식이다.
첫 사업은 한북정맥에서 100m 가량 떨어져 있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주교면 일원을 대상으로 실시된다. 한북정맥은 강원특별자치도 세포군 소재 식개산에서 운악산, 한강봉을 거쳐 경기 파주시 소재 장명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다.
국토부는 토지매수심의위원회 심의, 감정평가 등을 거쳐 지난해 말 이곳 일대의 3만6천㎡ 토지를 매수했다.
환경부는 매수된 토지에 습지와 양서·파충류 서식지 조성, 토양 수분과 지하수 함양 기능 보강, 숲 바닥에 직사광선이 직접 도달하게 해 숲 생태계 조성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숲틈을 확보해 저층림 조성 등을 실시해 생물다양성을 증진하고 탄소 흡수원을 확대할 예정이다.
안세창 국토부 국토정책관은 "부처 간 칸막이를 없애 개발제한구역을 친환경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한다는 공통된 목표를 지속적으로 추구하고 핵심적으로 중요한 곳은 철저히 지켜 나갈 계획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