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미라 기자] 인공지능(AI)이 위기가구의 초기 상담을 진행하는 업무에 투입된다.
보건복지부는 101개 시군구에서 'AI 활용 복지 초기상담 정보시스템' 시범사업을 추진한다고 22일 밝혔다.
복지부는 단전·단수 등 45종 위기정보를 입수 분석해 복지위기가구를 조사하는 사업을 1년에 6회 진행하고 있는데 현재는 지자체 사회복지공무원이 위기 의심 가구에 일일이 전화를 걸어 초기 상담을 진행한다. 이후 위기가구와 복지수요를 파악한 다음 심층상담과 가구방문을 통해 사회보장급여나 민간서비스 연계 등 복지서비스를 지원한다.
앞으로는 지자체 공무원이 직접 연락해 실시하는 '초기 상담' 단계에서 AI 시스템으로 해당 가구에 직접 전화를 하고 시나리오에 기반한 상담을 진행하게 된다.
시범사업 참여 지자체는 위기상황에 처한 주민에게 상담전화를 하기 전에 초기상담을 진행한다는 문자메시지를 시스템으로 발송해 전화를 받을 수 있도록 사전에 안내한다. 또한 긴급하게 복지도움이 필요한 가구가 읍면동 주민센터에 신속히 연락할 수 있도록 문자메시지에 담당공무원 연락처를 남겨둔다.
이후 AI 시스템이 사전에 파악된 위기가구에 발신전용인 전화(1600-2129)로 복지도움이 필요한 상황인지 파악하는 초기상담을 진행한다.
초기 복지상담을 완료한 후 상담내용은 시스템을 통해 지자체 공무원에게 자동으로 제공돼 심층상담, 가구방문 등을 위한 자료로 활용된다.
이번 시범사업은 22일부터 9월 13일까지 실시되고 이후 전체 시군구 참여를 60%로 높인 다음 11월 하순부터 전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AI 활용 초기상담 정보시스템은 이달부터 시범사업을 통해 시스템 안정성과 사용자 편의성을 점검한 후 11월 전국 시행을 준비 중이다.
복지부 임을기 복지행정지원관은 "일선 복지업무 현장에서 복지사각지대 발굴시 인공지능을 활용함으로써 어려운 이웃들을 더욱 촘촘하고 신속하게 지원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