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인수 기자] 우리나라 해상풍력단지 구축에 필수설비인 해저케이블 설치 속도를 높일 수 있는 국내기업의 자항형 포설선(PALOS호)이 취항한다.
산업통상자원부 이호현 에너지정책실장은 24일 충남 당진 아산 국가산단 고대지구에서 자항형 해저케이블 포설선 취항식에 참석해 관계자들을 격려하고 전력기자재 산업의 성장과 수출 확대를 위해 민관이 함께 긴밀히 협력해 줄 것을 당부했다.자항형은 스스로 이동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한 선박으로 기존 국내 해저케이블 포설선은 바지선 형태로 예인선이 있어야 기동이 가능하다.
자항형 포설선은 기존 바지선 형태 포설선에 비해 작업속도가 하루 3km에서 13km로 약 4배에 달하며 해상풍력 보급 확대와 장거리 해저송전선로 구축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해상풍력의 전 세계적 확대에 따라 해저 케이블 시장이 성장하는 가운데 우리 전력산업계의 해외 진출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산업부는 기대했다.
영국 원자재시장조사업체 CRU에 따르면 해저 세계 해저케이블 시장은 2022년 49억 달러(약 6조8000억원)에서 2029년 217억원 달러(약 30조원)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호현 실장은 "이 시장을 우리 업계가 확보하기 위해서는 해상풍력·케이블 그리고 조선 업계도 포함해 케이블 개발·제작·설치 그리고 포설선 건조·운용까지 아우르는 포괄적 전략이 필요하다"며 "업계와 함께 전략을 고민하는 것은 물론 서해안 초고압직류송전(HVDC)의 차질 없는 추진을 통해 우리 기업들의 트랙레코드 확보 기회도 제공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