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인수 기자] 앞으로 실시간 시세 조회가 가능한 주거용 오피스텔과 빌라 담보대출도 온라인을 통해 간편하게 갈아탈 수 있다.
금융위원회는 주거용 오피스텔과 빌라 담보대출도 '온라인 대출 갈아타기' 서비스 이용대상에 포함된다고 30일 밝혔다.
서비스 이용 담보대상 주택은 실시간 시세 조회가 가능한 주거용 오피스텔 또는 빌라(연립·다세대 주택)다. 현행 아파트 주택담보대출 갈아타기 서비스와 동일하게 기존 대출을 받은 지 6개월이 경과한 이후부터 가능하다. 다만 연체 상태인 대출, 법적 분쟁 상태인 대출, 저금리 정책금융상품 등은 갈아타기가 불가하다.
서비스에 참여하는 금융회사는 총 29개사다. 이 중 은행 12개사, 보험 1개사를 포함해 13개사가 신규 대출을 제공한다.
이용자는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토스, 핀다, 뱅크샐러드, 에이피더핀 6개 대출비교플랫폼과 신한, 국민, 하나, 농협 등 13개 금융회사 자체 앱을 통해 기존 대출을 조회하고 갈아탈 대출 조건을 비교할 수 있다.
이번 서비스에 참여하는 금융회사들은 실거래 시세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KB 시세(일반평균가)를 포함해 다양한 자동가치산정모형(AVM)을 통한 시세제공 업체의 서비스도 적극 활용한다.
서비스 이용방법은 아파트와 동일하게 대출 비교·선택, 대출신청, 대출심사, 약정·실행(상환) 단계로 진행된다.
이용자가 대출 신청을 하고 나면 신규 대출 금융회사는 약 1~2주간 대출심사를 진행한다. 오피스텔의 경우 해당 기간 주거 목적 사용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현장 실사를 실시한다.
대출 심사가 완료되면 금융회사는 문자를 통해 심사 결과를 이용자에게 알려준다. 이후 이용자가 금융회사 자체 앱 또는 영업점을 통해 상환방식, 금리구조 등 대출 조건을 확정한다. 이후 금융회사는 이용자가 약정 당시 설정한 대출 실행일에 맞춰 기존 금융회사로 대출금을 상환하면 대출 갈아타기 절차는 모두 완료된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