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정부가 분당, 일산, 평촌·산본, 중동 1기 신도시 내 노후화된 영구임대주택 재건축에 본격 착수한다. 기존 영구임대 입주민의 재정착을 위한 임대주택 1만4000호와 신규 공공주택 7200호를 2037년까지 순차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국토교통부는 1기 신도시 정비사업의 신속한 지원을 위해 신도시 내 영구임대주택 재건축 착수에 들어간다고 30일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분당은 청솔6단지 1300호·하얀6단지와 목련1단지 각 1500호· 한솔7단지 1700호가, 일산은 흰돌4단지 1100호·문촌7단지 6000호·문촌9단지 500가구 등이다.
정부는 내년 상반기까지 연차별로 착공계획을 수립하고 계획에 따라 임시거처 선호지 설문조사, 임시거처 확정, 이사·착공 등을 순차 진행할 계획이다. 재건축 공사 기간 동안 기존 거주민은 5개 신도시 인근 영구임대주택 9곳(4300호)를 포함해 총 1만3천호의 공공임대주택에서 거주하게 될 예정이다.
거동이 불편한 고령자·장애인을 위해 이사지원비와 이사 대행서비스를 지원한다. 임시거처 주변 병원과 사회복지관 간 협약 체결을 통해 의료비 지원, 무료 건강검진 등을 제공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영구임대주택과 민간아파트가 혼합된 단지의 재건축을 활성화하기 위해 민간아파트 주민이 희망할 경우 영구임대주택 소유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를 사업시행자로 하는 통합재건축도 허용한다. 재건축 공사에는 민간 건설사도 참여할 수 있다.
통합재건축을 희망하는 단지는 영구임대 단지의 기존거주민 이동완료 목표 시점 3년 전부터 주민 2분의 1이상 동의를 받아 관할 시에 입안 제안을 허용할 계획이다.
연차별 혼합 영구임대주택 재건축 물량은 내년 중 마련될 지자체별 순차정비방안과 연계해 지자체가 관리하는 연차별 정비구역 지정물량 범위 내에서 추진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1기 신도시 영구임대주택 재건축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신도시별로 국토부-지지체-LH 간 전담조직(TF)을 구성하고 이사·복지서비스 등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