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정부가 김에 이어 굴도 세계 수출 1위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해양수산부는 9일 ‘굴 양식산업 발전방안’을 발표했다.
굴은 동서양 모두 즐겨 먹는 수산물로 세계 시장 규모는 2022년 기준 6억 달러에 달한다. 우리나라는 프랑스(1억4천만 달러), 중국(1억2천만 달러)에 이은 세계 3위의 굴 수출국이다.
이번 방안에는 2030년까지 굴 생산량을 2023년 30만 톤에서 40만 톤으로 늘리고 굴 수출액도 1억6천만 달러로 두배 높일 계획이다.
이를 위해 굴 양식 집적화단지 구축과 굴 양식 전용어항 조성을 검토한다. 굴 주요 산지인 경남 통영, 거제와 전남 여수에 산재한 약 400개소의 굴 까기 가공공장(박신장)을 집적화단지와 굴 전용어항 내에 입주시켜 생산과정에서의 효율성도 높일 계획이다. 굴 종자생산장·가공공장 등 굴 생산에 필요한 시설도 집적화단지에 건설한다.
대부분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는 생산현장에 자동화도 추진한다. 공동 작업장 내 컨베이어 벨트와 탈각기·세척기·자동 선별기 등 맞춤형 장비를 보급한다. 해상에서 자동으로 굴을 채취하고 1차 세척 등을 할 수 있는 작업선을 보급해 작업환경을 개선한다.
식품 가공업체를 대상으로 새로운 굴 가공식품 제작과 판매를 지원하고 굴을 활용한 다양한 요리법도 보급해 알굴(깐굴) 위주로 소비되는 국내 굴 시장의 다변화를 유도한다.
고부가가치의 개체굴을 선호하는 유럽 시장 진출을 지원해 수출시장을 다변화한다. 개체굴은 일반굴과 달리 껍데기채 판매하는 것으로 일반굴보다 크기가 크고 부가가치가 높다. 이를 위해 일반 굴 어가의 개체굴 전환을 적극 지원해 전체 굴 생산량의 1% 수준인 개체굴 생산 비중을 2030년까지 30%로 확대한다.
전체 굴 수출액 중 71%를 차지하는 미국, 일본 등 기존 수출시장에서의 영향력도 확대하고 수출국에서 요구하는 국제인증 취득에 필요한 비용을 수출업체에 지원해 수출경쟁력을 강화한다.
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이번 대책을 통해 기존의 전통적인 굴 산업에서 탈피해 자동화·스마트화된 산업으로 변모해 양질의 안전한 굴을 생산하고 세계 1위 굴 수출국가로 거듭날 수 있도록 산업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