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설제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
김원태
news25@sisatoday.co.kr | 2010-01-08 11:21:22
[시사투데이 김원태 기자]
1. 제설제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눈이나 얼음을 녹이는 용도로서의 화학약품을 제설제(제설제)라고 있고 일본에서는 융설제, 융빙제 또는 결빙방지제라고 불리고 있다.
2. 제설제가 살포된 눈의 염농도
전기전도도는 12.4∼24.6mS/cm 로서 일반 하천수보다 매우 높고, pH는 살포되지 않은 곳의 눈보다 약간 높고 염소이온의 농도는 16∼30 배 높다.(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2001)
3. 환경에 미치는 영향
1) 도로변 토양에 미치는 영향
- 제설제는 토양의 알카리화와 토양의 염소이온농도를 증가시킨다.
- 제설제(염화칼슘)가 살포된 도로변 토양의 pH는 6.4∼7.9로 전국 도로변토양 pH 6.1∼6.4보다 알카리성이었으며 제설제가 뿌려진 1월보다 시간이 지난 11월에 pH 7.9로 상승되었으므로 토양의 알카리화가 진행됐다.(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2001)
- 제설제가 바로 살포된 1월에는 토양의 염소이온 농도는 68.7∼328mg/kg으로서 대조군(70mg/kg)보다 높았으나 11월에는 88.8mg/kg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2001)
2) 가로수와 식물에 미치는 영향
- 염화칼슘과 소금이 토양에 축적돼 식물의 뿌리를 통한 양분과 수분 흡수에 저해를 일으킬 수 있다.
- 시기적으로 제설제 살포시기부터 그 이후 봄철까지 녹지대의 위치에 따라서는 토양이 일시적으로 식물생육을 저해하는 수준으로까지 악화되는 경향이 있었다.(한국도로공사, 2007)
- 제설제 살포 전후를 포함한 1년 전 기간의 토양상태를 평균한 값을 보면 식생의 서장을 저해할 정도는 아닌 것으로 보고됐다.(한국도로공사, 2007)
3) 수질과 수생생물에 미치는 영향
- 염화칼슘은 칼슘이온과 염소이온으로 쉽게 해리되므로 물속에서 칼슘이온, 염소이온, 전기전도도를 증가시켰다.
- 화학물질의 어류에 대한 유독물지정기준은 LC50 = 1mg/L이하이나, 제설제(염화칼슘)는 어류(LC50 4,630mg/L), 물벼룩(EC50 2,400mg/L) 등으로 수생생물에 미치는 독성이 낮다.
※ LC50, EC50 : 실험 생물수의 반수를 사망시키거나 반수에 영향(유영, 성장률, 번식)을 주는 농도
4) 하수처리에 미치는 영향
- 제설제가 투입된 후의 눈의 pH는 7.5정도로서 pH가 0.5정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pH 7.5정도는 하수처리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 하수처리장에 유입되는 눈녹은 물의 염소이온 농도는 5,000∼8,700mg/L로서 일시에 유입될 경우 다른 하수와의 혼합정도에 따라 약간의 활성 저해 영향을 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 그러나 염소이온 농도 보다는 일시적으로 다량 유입되는 눈 녹은 차가운 유입하수에 의한 활성저해가 더 클 것으로 판단됐다.
-자료출전-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2001, 제설제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도로공사, 2007, 염화물제 제설제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 및 대책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