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산업 지원 위한 R&D 종합지원 체계정비

김균희

| 2010-12-10 11:46:00

국과위 중심으로 범부처 협의체 구성․운영 소재 R&D 종합지원 추진체계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지식경제부(장관 최경환)는 미래산업경쟁력을 좌우할 소재산업 지원을 위해 지경부와 5개 관계부처(교과부, 국토부, 환경부, 중기청, 방사청) 합동으로 ‘소재 R&D 종합지원 체계정비 (안)’을 9일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운영위원회에 상정함으로써 범부처 간 유기적인 협력을 위한 기틀을 마련했다.

산업경쟁력의 원천이 완제품, 부품산업 중심에서 소재산업으로 패러다임이 변화됨에 따라 부처별 소재 R&D 투자 효율화를 통해 2018년 ‘세계 4대 소재산업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관련 부처 간 논의를 통해 종합지원 체계를 정비했다.

우선, 소재분야의 R&D지원이 증가추세에 있지만 부처 간 협력체계 미흡으로 유사 또는 편중․분산 투자 요인이 발생할 우려가 있어 이를 대비․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추진하게 됐다.

또 소재 R&D 통합 조정관리를 통한 소재 기술개발 시스템의 효율 및 성과 극대화를 위해 국가과학기술위원회를 중심으로 ‘소재기술개발소위원회(가칭)’를 구성해 운영한다.

동 소위원회에서는 부처 간 소재개발 수요 분석, 공유, 민간의견 수렴 및 정보교환을 통해 공동정책 어젠더를 발굴하고, 각 부처의 기술로드맵에 근거한 소재개발 통합기획, 신규사업 투자계획 등 소재 기술개발 투자계획을 검토․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소재 R&D통합관리 시스템 구축을 감독하고 국제협력대응체계를 수립 운영하며 녹색성장, 신산업 창출 및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부처별 특성을 고려한 특성화 소재군을 발굴한다. 부처별 R&D과제의 효율적 추진, 관리를 목적으로 각 부처소속의 R&D 전담기관간 네트워크를 강화하기 위해 ‘소재종합지원협의체’를 설치․운영한다.

소재종합지원협의체를 통해 소재 R&D사업의 실시간 모니터링 및 연구성과를 공유해 연구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도록 할 예정이다. 또한 기업수요, R&D과제정보, 우수 성과 및 협력사례 등에 대한 통합정보조사체계를 구축, 투자 효율성을 제고하고, 부처별 연구관리 제도 불일치로 발생하는 애로사항을 최소화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지식경제부 우태희 주력산업정책관은 “이번 국가소재 R&D 체계정비(안)“은 범부처간 협력사업의 기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며 “이를 통해 향후 10년은 우리경제가 세계 소재시장의 주역으로 발돋움하는 전환기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