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까지 50개 스마트워크센터 만들어

김균희

| 2011-01-20 10:40:12

올해 수도권 등에 10개 스마트워크센터 구축 007c5306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주거지‧교통요지 인근에 IT 기반을 갖춘 복합 업무 공간으로 새로운 노동 형태로 주목 받은 스마트워크센터가 2015년까지 50개 들어선다.

지난해 7월 발표된 ‘스마트워크 활성화 전략’의 세부 실행계획에 해당하는 이번 계획은 스마트워크센터 구축 확대, 법·제도적 기반 마련, 인식제고를 위한 교육·홍보 등 3개 분야로 구성돼 있다. 이를 위해 행안부에서는 정보화전략실-조직실-인사실이 TF를 구성해 업무절차 및 방식, 조직문화, 인사제도 개선 등을 종합적으로 공동 추진하기로 했다.

우선, 스마트워크센터 구축·운영계획을 보면 2015년까지 전국적으로 총 50개의 공공 스마트워크센터 구축을 목표로 스마트워크 도입기인 2010~2011년 이용수요가 많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10개의 센터를 구축·운영해 성공사례를 만든 후, 이를 바탕으로 단계적으로 지방으로 확산해 나갈 예정이다.

둘째, 스마트워크 확산기인 2012~2013년에는 수도권에 25개, 대도시 등 지방 주요거점에 5개 스마트워크센터를 구축해 본격적으로 스마트워크가 활성화되는 기반을 구축하고 행정기관의 세종시 이전과 병행해 중앙청사·여의도 등지에 대규모 스마트워크센터를 구축, 소속에 관계없이 모든 공무원이 언제든지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셋째, 2014~2015년에는 전국적으로 총 50개(누적)의 스마트워크센터를 구축해 전 중앙 및 지방공무원들이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해 공직사회에 스마트워크가 정착되도록 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스마트워크센터 시설기준 및 운영방법 컨설팅 등 민간 기업의 스마트워크센터 구축·운영을 지원하고, 일정한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정부 공인 스마트워크센터로 ‘인증’하는 방안도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스마트워크 확산을 위한 법·제도적 기반도 마련된다. 장기적으로 ‘스마트워크 촉진법’을 제정해 전 국가·사회적으로 스마트워크가 활성화될 수 있는 추진동력을 확보하고 지방자치단체의 스마트워크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해 국토부 등 관계기관과 협조해 ‘지방도시교통사업특별회계 표준조례안’을 마련·보급할 계획이다.

또한 스마트워크로 인한 인사상 불이익 우려를 없애기 위해 인사제도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간다. 이어 스마트워크에 대한 인식제고를 위해 중앙공무원교육원의 각종 교육과정에 ‘스마트워크 관련 교과목’을 개설해 필수교양과목으로 운영하고, 지역별·기관별 순회교육도 실시할 계획이다.

행정안전부 심덕섭 정보화기획관은 “스마트워크는 해보기가 어렵지 일단 체험해 본 사람들은 대부분 스마트워크의 호응을 한다”며 “올 1월말~2월초에 일산 등 수도권 주요지역에 스마트워크 센터 입지를 선정한 후 바로 구축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며, 센터가 구축 완료되는 올 7월부터는 전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스마트워크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