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1년 비무장지대(DMZ)에 민간인 동원해 고엽제 살포 주장
정명웅
| 2011-05-25 14:37:34
녹색연합, 강릉 민간인통제선 주민과의 인터뷰 통해 사실 확인
비무장지대에 살포했던 고엽제 모뉴런 사진뉴시스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25일 강릉 민간인통제선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한 주민과의 인터뷰를 통해 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 초까지 민간인이 DMZ 내 고엽제(모뉴런) 살포 작업에 동원된 사실을 확인했다고 녹색연합은 밝히며 고엽제 사진과 진술 내용을 공개했다.
그 주민에 말에 따르면 "1971년 비무장지대의 시야 확보를 위해 불모지 작업을 하면서 고엽제를 살포하는 작업을 했고 목책주변으로 풀이 자라날 때 마다 수시로 작업에 동원됐다"고 했다.
또 "지역 군부대의 요청으로 주민들이 고엽제 살포에 동원됐고 현장에는 미군이 고엽제 이동과 살포를 감시하는 역할을 했다"며 "그 당시 고엽제는 드럼통이 아닌 포대자루에 담겨 있었고 취급주의 표시와 해골, 위험 등의 표시가 돼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서 "고엽제 살포 작업은 보호 장비 없이 맨손으로 했고 이 작업에 참여한 주민들은 고엽제인줄 모른 채 단순히 풀 없애는 약이라고 들었다. 당시 작업 후 군부대에서 쓰다 남은 것은 가져가라고 해서 가져와 현재 고엽제를 보관할 수 있었다"고 주민은 말했다.
녹색연합은 "현재 이 주민은 1971년 고엽제를 살포한 후유증으로 천식을 앓고 있고 국가를 상대로 고엽제 피해에 대한 피해보상을 신청했지만 아무런 보상을 받지 못해 고엽제를 살포한 증거로 이를 폐기하지 않고 가지고 있는 상태"라고 말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