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표준원, 3D 표준 휴먼팩터 한국이 주도

김균희

| 2011-06-14 07:22:00

IEEE-SA 3D 국제회의 개최해 WG 신설 & 국제표준 채택 IEEE-SA 기관 현황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은 3D TV 등 3D산업분야에서 핵심기술인 눈의 안전성을 다루는 휴먼팩터에 대한 국제표준화 주도를 위해 전기전자분야 사실상표준화기구(IEEE-SA)의 첫 번째 3D WG 국제회의를 14일 서울 팔래스호텔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는 미국(IEEE-SA 관계자), 일본(미쯔비시, 소니), 중국(하우웨이), 한국(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LG전자, 삼성전자, 레드로버, KT, 전자통신연구원 등)의 4개국 핵심 표준전문가가 참가한다.

사실상표준화기구(IEEE-SA)에서는 우리나라가 제안한 3D 작업반(WG) 신설과 관련 표준을 채택하고 그 신설WG 의장을 연세대 이상훈 교수로 공식 선임했다. 이 교수의 3D 휴먼팩터 WG 의장 수임은 우리나라의 표준기술을 국제표준으로 적극 반영하며 국제표준 제정활동을 리드할 수 있게 돼 그 의미가 크다.

또한 금번 3D 휴먼팩터 WG 신설은 우리나라가 3D기술의 차세대 신성장산업 육성을 위해 사실상표준을 주도하는 우리나라의 전략적 표준외교 결과다. 3D 휴먼팩터의 제안 표준은 입체영상 시청 시 시각피로, 광과민성 등의 반응과 제반 유발요인평가(사용자, 콘텐츠, 시청환경,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특징 등)를 다루고 있다.

향후 정부에서는 국제표준화기구에 3D 의료, 교육 등 분야의 관련 표준화 영역을 확대해 우리나라의 3D산업이 세계를 리드할 수 있도록 국제표준화 선점에 역점을 두어 추진할 예정이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