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 재활용 목표율 최대 22.1% 상향 조정

양영구

| 2012-12-21 09:36:49

재활용여건 열악한 종이팩과 전지류 등 14개 품목 평균 4.22% 인상 환경부

시사투데이 양영구 기자] 환경부는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진행된 제1차 장기 재활용목표율이 만료됨에 따라, 재활용의무대상 제품·포장재 31개 품목에 대해 제1차 장기 재활용목표율보다 5.34% 높은 평균 50.56%의 장기 재활용목표율을 설정․고시하고,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적용된다고 21일 밝혔다.

장기 재활용목표율은 생산자책임재활용(EPR) 대상의 제품 생산자가 장기적인 관점에서 체계적인 재활용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품목별 재활용 실적, 회수·재활용체계 등 재활용여건과 정책적 필요성 등을 반영해 5년 단위로 설정·고시하고 있다.

이번에 고시한 ‘제2차 장기 재활용목표율’은 현재의 제품·포장재별 재활용 인프라 구축정도를 고려해 재활용 단계를 도입기, 성장기, 성숙기로 나누고, 이에 따라 재활용률을 설정했다. EPR제도 도입 초기나 재활용여건이 열악한 종이팩과 전지류 등 14개 품목에 대해서는 평균 4.22% 인상했다.

반면, 수거·재활용체계가 구축중인 8개 품목은 목표율을 적극적으로 설정해 평균 11.77%인상했다. 특히 역회수 등에 의존하는 전기·전자제품은 문전수거 확대 등 수거체계 보완을 감안해 목표율을 대폭 인상해 재활용 활성화를 유도했다.

환경부 관계자는는 “이번 장기 재활용목표율을 토대로 매년 다음연도의 재활용의무율을 고시하고, 기업의 폐기물 감량 및 재질․구조 개선여부 등에 대해 성과평가를 실시함으로써, 재활용율 제고 및 자원순환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