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과학원, 유해환경 노출과 유방암 발생 관련성 연구 추진

김수경

| 2013-03-22 09:59:37

2013년부터 2015년까지 3년간 본격적인 연구 시행

시사투데이 김수경 기자] 생활 속에 노출되는 유해환경과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유방암 발병률과의 관련성을 밝혀 여성들의 건강 증진에 이바지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연구가 실시된다.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은 단국대학교와 공동으로 환경유해인자 노출과 유방암 발생의 관련성을 평가하기 위한 환자-대조군 연구를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22일 밝혔다.

국립암센터에 따르면, 유방암은 우리나라 여성에게 발생하는 전체 암 중 갑상선암에 이어 두 번째로 흔한 암으로 2010년 유방암 연령표준화발생률을 보면 인구 10만 명당 45.4명 발생했다. 이번 연구는 국내 유방암이 1999년 이후 매년 6% 정도 증가하고 50세 이하의 젊은 층에서도 많이 발생하지만 기존에 밝혀진 발병 위험 요인만으로는 급격한 발생률 증가의 원인을 설명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판단돼 기획됐다. 기존의 유방암 발병 위험 요인은 가족력, 생식과 임신, 음주나 호르몬제 사용 같은 생활행태, 방사선 노출 등으로 알려져 있다.

환경과학원은 이 연구를 추진하기에 앞서 우리나라의 급격한 산업화로 인한 각종 화학물질의 노출 증가와 우리나라 유방암 발생률 증가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2011년 7월부터 12월까지 설문조사를 통한 예비조사를 실시했다. 우선 검토대상으로 유해물질, 직업력, 거주지 등 환경 위험요인 22종을 선정해 총 186명(환자군 62명, 대조군 124명)에게 노출 관련 설문을 실시했다.

조사 결과 거주지 환경, 청소용 세제나 매니큐어의 잦은 사용 등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이는 요인을 다수 발견했다. 그러나 과거 노출 위주의 설문조사는 기억을 회상하는데 따른 일부 편견이 개입될 수 있고, 대상자 수가 적어 추가적인 분석을 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환경과학원은 앞선 예비조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건강검진과 유방암 확진을 위해 국립암센터에 내원한 여성 환자군과 대조군 총 2,500여명을 대상으로 보다 정밀하게 설계해 2013년부터 2015년까지 3년간 본격적인 연구를 시행한다.

환경과학원 관계자는 “기존에는 국내에서 유방암 발생과 관련해 환경유해요인에 대한 노출경로를 범주화하고 생체시료 농도조사를 병행해 실시한 연구가 없었다”며 “연구 진행과 결론 도출 과정에서 유해요인 노출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연구진의 경험을 토대로 교육, 캠페인 등을 함께 추진하며 여성 건강 보호에 기여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