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소리에 반응하는 CCTV.. 지능형 관제서비스 추진
윤초롬
| 2013-07-04 10:05:49
시사투데이 윤초롬 기자] 고성이나 굉음과 같은 소리에 자동적으로 반응하고 순식간에 얼굴을 인식해 실종자 찾기를 지원해 준다...이처럼 CCTV가 점점 더 똑똑해진다. 안전행정부는 CCTV 고도화를 통해 국민에게 더욱 안전한 생활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ICT 신기술을 적용한 ‘지능형 관제서비스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지능형 관제서비스는 기존의 CCTV 영상정보를 육안에만 의존해 관제하던 것을 통합관제센터 시스템에 특정 기술을 적용해 보다 효율적이고 집중적인 관제를 지원하기 위한 서비스다. 지난해 처음으로 개발된 지능형 관제서비스는 ‘어린이 안전 위한 행동 자동감지 서비스’(서울 노원구)와 ‘문제차량 자동감지 서비스’(서울 관악구) 두 가지로 상반기부터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번에 채택된 시범사업은 충북 진천군의 ‘이상음원 발생지역 집중관제 서비스’와 부산 금정구의 ‘실종 사회적 약자 찾기 서비스’다. 이상음원 발생지역 집중관제 서비스는 CCTV 현장에 소리(비명, 자동차 충돌 등)를 감지 장치를 통해 즉시 감지하고 관제화면으로 자동 전환돼 신속한 현장대응을 할 수 있는 서비스다. 실종 사회적 약자 찾기 서비스는 실종신고 된 사회적 약자의 주요특징(어린이나 치매노인, 지적장애인의 생김새, 의상착의, 체형 등)을 통합관제센터의 영상정보와 비교·분석해 실종자 찾기를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이들 두 지방자치단체는 안행부에서 2억씩 지원 받아 올 11월까지 해당기술의 개발을 완료해야 한다. 개발된 기술은 해당 지자체에서 직접 적용해 검증한 후 그 결과를 반영한 서비스 모델을 수립해 향후 전국 통합관제센터에 도입 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심덕섭 안행부 전자정부국장은 “정부의 안전한 사회 구현을 위해 통합관제센터의 역할과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며 “향후 지능형 관제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보완해 통합관제센터가 국민안전에 앞장서 든든한 국민 생활 안전지킴이가 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