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환경관리기술 개발 추진

유예림

| 2014-04-25 10:14:48

‘CCS 환경관리연구단’ 공식 출범 환경부

시사투데이 유예림 기자] 환경부가 온실가스의 대표적인 기체인 이산화탄소(CO2)를 땅속에 저장할 때 일어날 수 있는 환경영향과 이에 따른 위험성을 탐지하고 관리하는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환경부는 2010년 7월에 작성한 ‘국가 CCS 종합추진계획’과 올해 1월에 작성한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 로드맵’에 따라 온실가스 감축의 핵심방법 중 하나인 CCS사업의 환경영향 및 위해성을 탐지·평가·관리하기 위한 기술 개발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25일 밝혔다.

국가 CCS 종합추진계획에 따르면, 환경부는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지중에 저장하는 경우 발생 가능한 환경영향을 탐지·평가·관리하기 위한 기술개발을 주관한다. 이산화탄소를 포집, 운반, 지중에 저장하는 분야의 기술 개발은 미래창조과학부와 산업통상자원부 등의 부처가 맡는다.

이산화탄소 지중 저장과 관련한 실제 사업은 2~3년 후에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환경부는 타 부처 기술개발과 연계해 CCS의 환경안정성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을 올해부터 착수하고 이에 대한 성과를 관련법과 제도에 반영할 계획이다.

이를 위한 ‘CCS 환경관리연구단’이 25일 공식 출범한다. 이 연구단은 고려대학교가 주관하며 복수의 대학, 기업, 연구소, 관계 전문가 등이 공동으로 참여한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