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닥분수 빠르게 증가,,수질관리 미흡해

유예림

| 2014-06-12 11:10:53

바닥분수 연평균 증가율 38% 바닥분수 구조 및 물 순환 개념도

시사투데이 유예림 기자] 어린이가 좋아하는 바닥분수 등 물놀이형 수경시설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나 수질 관리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물놀이형 수경시설이 2011년 606개에서 2013년 802개로 연평균 16% 가량 증가했으나 수질관리는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지자체가 운영 중인 시설을 대상으로 해 아파트 단지, 놀이공원, 백화점 등에서 운영하는 민간시설을 포함할 경우, 전국의 물놀이형 수경시설 수는 지난해 공공시설수 802개의 약 2배가 넘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물놀이형 수경시설은 크게 바닥분수, 일반분수, 벽면분수, 인공실개천 등으로 구분된다. 특히 어린이가 즐겨 찾는 바닥분수의 경우 2011년 325개에서 2013년 570개로 연평균 증가율이 38%에 이르며 전체 수경시설 중 71.1%로 나타났다.

물놀이형 수경시설의 수질관리 실태는 환경부의 지속적인 홍보와 관리대책 추진 등으로 개선추세에 있다. 하지만 실제 가동 중인 764개 중 23%인 176개가 부적정 관리 시설인 것으로 드러나 지속적인 관리 강화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수질기준을 초과하는 물놀이형 수경시설이 40개(5.2%)로 이중 37개가 바닥분수인 것으로 조사됐다. 바닥분수가 수질오염에 취약한 원인으로는 이용자가 많은데다 외부 불순물 유입이 쉽고 별도의 처리 없이 물을 재이용하는 구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수질기준을 초과한 항목은 대장균 34개(85%), 수소이온농도 5개(12.5%), 탁도 1개(2.5%) 등으로 나타났다. 수질관리가 소홀할 경우, 용수가 유아와 어린이의 피부에 접촉하고 입이나 호흡기에 들어가, 피부염, 구토, 설사 등을 유발할 수도 있어 보다 철저한 수질관리가 필요하다.

환경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물놀이형 수경시설의 이용자 준수사항을 홍보하고 이들 시설에 대해 시·도와 합동으로 현장 계도를 실시할 계획이다. 애완동물 출입금지, 물놀이 이후 깨끗한 물로 씻기, 영유아는 샘 방지용 기저귀 착용 등 ‘물놀이형 수경시설 이용자 준수사항’을 지자체가 홍보물로 제작해 배포하도록 전달할 예정이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