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노르웨이 정상회담, 조선·해양·친환경에너지·북극협력 강화

윤용

| 2016-04-15 16:55:24

한-북유럽 항해시간 기존30일에서 절반 단축, 북극항로 공동연구 지속 박근혜 대통령과 에르나 솔베르그 노르웨이 총리가 15일 오전 청와대에서 한-노르웨이 정상회담에 앞서 포토타임(사진=청와대) 박근혜 대통령이 에르나 솔베르그 노르웨이 총리와 15일 오전 청와대에서 한-노르웨이 정상회담(사진=청와대)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정부는 15일 해저 CCS(탄소포집저장) 분야 선두국가인 노르웨이와 CCS를 비롯 친환경 에너지기술 분야 협력을 적극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또한 친환경 선박, 해양플랜트 등 고부가가치 분야 협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기로 했다.

박근혜 대통령과 에르나 솔베르그 노르웨이 총리는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이같은 내용에 합의했다.

양국 정상은 이날 회담에서 CCS 등 에너지 신기술 분야에서 양국이 산학기관 공동연구, 민관협의체 구성 등을 함께 협력해 나가기로 뜻을 모았다.

노르웨이는 순수 지질학적 저장소에서 저장하는 방식으로 지난 1996년 세계 최초 상업적 규모의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등 대규모 해저 CCS 분야 선두국가다. 특히 노르웨이 스타토일사(社)는 상용화급 해상 CO2 저장기술을 확보, 노르웨이 해상에 연간 100만톤 이상의 CO2 지중 저장 실증 프로젝트를 상업적으로 운영 중이다.

우리 또한 기후변화 위기를 새로운 기회로 활용하기 위해 CCS 등 에너지 신기술을 적극 추진 중이어서 이번 정상회담 결과에 따라 기후 변화 대응, 친환경에너지 기술협력 및 활용기반이 마련될 전망이다.

두 정상은 또한 양국 간 '조선 및 그린쉽 개발협력 MOU(양해각서)'를 기반으로 친환경 선박, 해양 프랜트 등 고부가가치 분야 협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지난 2012년 9월 체결된 '조선 및 그린쉽 개발협력 MOU'는 조선 해양플랜트 컨퍼런스(2013), 그린쉽 세미나(2014), 해양세미나(2015) 개최 등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솔베르그 총리는 이번 방한을 계기로 울산의 현대 중공업을 방문, 노르웨이 선사가 발주한 해양플랜트 선박 건조현장을 둘러볼 계획이다.

지난해 양국 교역규모는 사상최대치인 74억달러를 기록했는데 대(對)노르웨이 수출액 중 선박이 91%를 차지했다. 이는 지난해 노르웨이가 발주한 선박의 55%를 한국 기업이 수주한 데 따른 것이다.

아울러 양국은 북극항로 공동연구, 해운협력, 북극협의회 등 북극협력을 지속해나가기로 합의했다.

청와대는 "우리나라와 노르웨이는 2014년부터 북극해 항로를 공동 연구 중"이라며 "양국 정상회담을 계기로 북극 항로 개척 등 중장기적 북극협력의 토대를 마련했다"고 말했다.북극항로는 2만2000㎞에 달하는 기존 인도양항로에 비해 한국-북유럽 간 항행거리를 3분1일인 7000㎞를 단축, 항해시간을 기존 30일에서 절반으로 줄일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나라는 지난 2002년 노르웨이령 스발바르에 다산과학기지를, 2014년 트롬소에 한·노르웨이 극지연구협력센터를 각각 설치하고 양국간 북극협의회를 운영하는 등 북극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밖에 박 대통령과 솔베르그 총리는 교역품목 다변화를 통한 양국간 교역·투자 확대 방안을 논의했으며, 북한·북핵 문제를 비롯한 한반도 정세 등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했다.

특히 노르웨이는 선진 경제권과 체결한 우리의 최초 FTA 대상국으로 지난 2006년 9월 한-EFTA 발효 후 한-노르웨이 간 교역액은 지난 10년간 4배 증가했다. EFTA(유럽자유무역연합)은 유럽연합(EU) 미참가 4개국인 노르웨이, 스윗,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 등으로 구성된 경제연합체로 우리가 칠레, 싱가포르에 이어 3번째로 체결한 FTA 상대 경제권이다.

노르웨이 역사상 두 번째 여성 총리인 솔베르그 총리는 정상회담 등을 위해 3박 4일간의 일정으로 14일 방한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