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북한, 남북관계개선 진정성 변화 없고 핵보유국 억지주장"
윤용
| 2016-05-10 17:53:19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박근혜 대통령은 10일 북한의 7차 노동당대회와 관련,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진정성 있는 변화는 보여주지 못한 채 핵보유국이란 억지 주장과 함께 핵 능력 강화를 밝히는 등 국제사회 경고를 무시하면서 도발 위협을 지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면서 북한이 노동당 제7차 대회를 통해 핵보유국임을 선언한 것에 대해 이같이 비판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이러한 안보 상황과 경제 침체 등을 이겨내기 위해서는 국가적 역량을 한 곳으로 모으고 정쟁으로 국익을 해치지 않아야 한다"며 "국민의 힘으로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고 국가를 지켜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북한이 9일 앞서 4일간 열린 노동당 제7차 당대회를 마무리하며 "책임있는 핵보유국"임을 천명하고 핵-경제 병진노선을 핵심으로 하는 결정서를 채택한 데 대한 박 대통령의 첫 대국민 입장표명이다.
박 대통령 이에 대해 북핵불용 입장을 거듭 강조하고 국민에겐 '안보 위기'라는 경각심을 갖고 국가적 역량 결집에 동참해 줄 것을 촉구한 것으로 풀이된다.
박 대통령은 지난 1∼3일 진행된 이란 국빈방문을 언급하면서 "이번 방문에서는 경제 분야 뿐만 아니라 우리와의 관계를 전략적인 협력관계로 발전시키고자 하는 이란측의 높은 기대를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이란측은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통일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는데 이것은 북한과 전통적 우호 관계를 유지해온 이란과 앞으로 한반도 문제와 관련해서 협력할 수 있는 여지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외교적으로 상당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최근 한반도 안보 상황과 경제여건이 어렵고 수교 후 첫 정상 방문이라 국민의 관심도 많으셨는데 의미있는 성과를 거둘 수 있어서 기쁘게 생각한다"면서 "이란은 우리가 과거 어려운 경제 상황에서 많은 근로자가 국가 경제를 일으키는 기반을 마련한 나라여서 더욱 의미가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에 양국간 교역 투자의 확대와 우리 기업의 인프라 사업 참여기반을 마련하였고 정보통신기술(ICT), 보건의료, 에너지 신산업을 비롯한 신성장 동력 분야로 경제협력을 다변화해 나가기로 했다"면서 "이번 순방을 계기로 제2의 중동 붐이 일어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