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뭄해소 위해 물 부족 우려지역 선제 대비

김지혜

| 2017-02-07 00:06:27

영농기 물 부족 발생않도록 대응 국민안전처

시사투데이 김지혜 기자] 국민안전처는 올해 1월부터 본격적으로 가뭄 예·경보를 실시해 가뭄이 우려되는 지역에 용수공급체계를 조정하도록 하는 등 영농기에 물 부족이 발생되지 않도록 대응하고 있다.

올해 강수량은 평년(1,307.7㎜)과 비슷하거나 많을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전국의 댐 평균저수율은 평년 45.6%의 111%, 저수지 평균저수율은 평년 79%의 96% 수준으로 전국적인 물 부족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지난 1월 가뭄 예·경보 발표 시 우려지역으로 선정된 경기·충남·전남 일부지역은 관계부처, 지자체, 유관기관과 함께 도수로 가동, 양수시설 설치, 담수화시설 운영 등의 대책을 추진 중이다.

생활·공업용수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하기 위해 충남 보령댐에 단계별로 도수로(21.9km, 백제보 취수)를 가동할 수 있도록 하고 전남 평림댐은 상수도 활용을 확대하는 등 용수공급대책을 마련했다. 또한 농업용수 확보를 위해 지난해부터 경기·충남지역 등에 가뭄대책비와 특교세 등 449억원을 투입해 관정개발, 양수장 설치, 저수지 준설을 실시하는 등 영농기 이전에 저수율을 사전에 확보했다. 특히 평년대비 저수율이 50% 미만인 저수지 65개소는 비가 오지 않을 것을 대비해 2월말까지 저수지 물채우기를 완료할 예정이다.

안전처 김희겸 재난관리실장은 “정부는 본격적으로 용수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되는 영농기 전에 관정개발, 저수지 준설 등 선제적 대응을 통해 물 부족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총력 대비하고 있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