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폐가전 무상수거량 75만대..전년 대비 37% 증가

방진석

| 2017-07-19 14:58:24

기초지자체 중 창원시, 제주시, 성남시 순으로 수거실적 높아 환경부

[시사투데이 방진석 기자] 올해 상반기 폐가전제품 무상방문 수거량이 약 75만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폐가전제품 무상방문 수거량이 전년 같은 기간 54만대 대비 약 37% 증가했다고 19일 밝혔다.

2012년부터 실시한 폐가전제품 무상방문은 수거 실적이 2012년 3만 7,000대, 2014년 35만대, 2016년 120만대 등 매년 증가하고 있다. 올해는 150만대 이상이 수거될 것으로 예상된다.

기초지자체별 수거실적은 창원시가 2만 3,974대로 1위, 제주시가 2만 696대로 2위, 성남시 1만 4,760대로 3위를 기록했다. 광역지자체별 수거실적은 서울 12만 3,573대, 경기 11만 2,931대, 경남 8만 6,173대 순으로 나타났다.

제품군별로는 냉장고, 세탁기 등 대형가전이 39만 2,594대로 가장 많았고 전기밥솥, 전기다리미 등 소형가전이 17만 1,249대를 차지했다. 이에 반해 휴대폰은 1만 1,420대로 수거량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측은 “휴대폰의 수거량이 낮은 이유에 대해 휴대폰의 부가가치가 높아 중고 휴대폰의 해외 수출이나 가정에서 다양한 용도로 재사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고 했다.

무상방문으로 수거된 폐가전제품은 파쇄, 선별, 압축 등의 재활용 과정을 거쳐 고철, 플라스틱, 구리 등의 자원으로 재활용된다. 올해 예상 수거량 150만대가 자원으로 재활용될 경우 약 1,676억 원의 경제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국민들이 폐가전제품을 배출할 때 폐기물 배출 스티커를 구입하지 않아도 돼 약 125억 원의 경제적 부담도 줄일 수 있다.

폐가전제품 무상방문 수거는 2012년 6월 서울시부터 시범 운영을 시작했고 2014년부터 전국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온라인(www.15990903.or.kr)이나 콜센터(1599-0903) 등을 통해 폐가전제품 배출 예약을 하면 수거·운반업체가 가정을 직접 방문해 무상으로 수거해 재활용업체에 넘겨준다.

김원태 환경부 자원재활용과장은 “무상방문 수거는 국민편익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공익사업이다. 폐가전제품 무상방문 수거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집하장 제공이나 적재지원 등의 역할을 담당하는 지자체의 관심과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