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고산대 침엽수에서 미기록 내생균 2종 발견

이윤지

| 2017-07-26 12:25:26

기후변화 취약종인 아고산대 침엽수 관리대책 적응기술 활용 가능 분비나무의 웅화서(수꽃) 개화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아고산대 침엽수인 분비나무에서 미기록종 내생균 2종이 발견됐다.

환경부 산하 국립생태원은 아고산대 침엽수종인 분비나무(Abies nephrolepis)에서 우리나라에서 보고되지 않은 미기록 내생균 2종을 발견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내생균 2종은 지난해 6월 강원도 인제군의 점봉산에서 채집한 분비나무 잎을 분리 배양하는 과정에서 발견됐다. 분비나무는 소나무과에 속하는 침엽수종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해 중국, 러시아 등에 분포한다. 아고산대 생태계 대표수종으로 현재 기후변화에 따른 서식 환경의 변화로 개체수가 줄고 있다.

내생균은 식물 내부에 존재하는 진균으로 공생기작을 통해 환경변화 스트레스 저항성 향상, 병원균과 초식동물에 대한 보호작용 등에 관여한다. 내생균이 분비하는 생리활성물질은 신약 후보 물질로 활용되기도 한다.

이번에 발견된 내생균 2종은 페지쿨라 스포룰로사(Pezicula sporulosa), 플릭테마 바가분다(Phlyctema vagabunda)다. 유럽, 러시아 등에서 보고된 적은 있으나 국내에서는 발견된 적이 없는 미기록 종이다.

페지쿨라 스포룰로사는 균총(colony)의 잎 가장자리 형태가 톱니처럼 얕게 갈라졌고 전체적으로 둥근 모양으로 안정한 형태를 띤다. 표면의 색상은 연한 갈색이다. 플릭테마 바가분다는 균총의 잎 가장자리가 불규칙하게 발생하고 표면의 색상은 흰색이다. 균사는 다소 성기게 자라며 약하게 공중균사가 발달한다.

국립생태원 연구진은 이번 내생균 2종이 아고산대 침엽수림의 집단 고사와 쇠퇴현상에 대한 대책 기술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희철 국립생태원장은 “내생균 2종은 분비나무가 서식하는 아고산대에 대한 적응도가 다른 내생균 보다 높다. 이러한 환경에 적응된 내생균을 접종해 분비나무의 환경변화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