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극단 선택' 막는다..전문 상담 확대‧은둔 청소년 생활비 지원
김애영
| 2022-11-24 16:53:58
[시사투데이 김애영 기자] 정부가 자살‧자해 우려가 있는 고위기 청소년을 조기에 찾아내기 위해 청소년시설을 이용하는 청소년에 대한 정신건강 검사를 강화한다. 청소년상담1388에 24시간 전문 상담인력도 확대한다. 은둔형 청소년이 극단 상황에 내몰리지 않도록 위기청소년 특별지원 대상에 포함해 생활비와 의료비 등을 지원한다.
여성가족부는 24일 국무총리 주재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 관계부처 합동으로 '고위기 청소년 지원 강화 방안(청소년 자살‧자해 예방 중심)'을 보고했다.
복지부 자살예방백서에 따르면 자살은 국내 9~24세 청소년 사망원인 1위로 최근 4년간 청소년 10만 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자가 7.7명에서 11.1명으로 44% 증가했다. 10대 자살·자해 시도는 2633명에서 4459명으로 69% 증가했다.
이번 대책은 청소년 자살·자해가 정신적·가정적 문제 등에 주로 기인하고 충동성, 모방성, 낮은 스트레스 대처능력 등 청소년 특성을 고려해 수립됐다.
우선 고위기 청소년을 조기에 발굴하기 위해 청소년쉼터, 청소년상담복지센터 등 청소년시설을 이용하는 청소년에게 정서행동특성 조사를 확대해 실시하기로 했다.
또한 사이버아웃리치와 거리상담 등 온·오프라인의 찾아가는 상담 서비스도 확대한다. 사이버아웃리치는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 등 온라인 매체에 청소년이 올린 글을 보고 전문상담원이 직접 접촉하며 고위기 청소년을 지원하는 상담 활동이다.
전국 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서는 자살‧자해에 특화된 고위기 청소년 집중 심리클리닉을 운영한다. 고위기 청소년 지원에 관한 전문성과 대응력을 강화하기 위해 시도 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는 임상심리사를 신규로 배치해 정확한 평가를 바탕으로 한 통합지원을 실시한다.
온라인 소통을 선호하는 청소년들이 상담 서비스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비대면 상담채널인 청소년상담1388의 24시간 전문 상담인력을 확충해 대기시간을 단축하고 비대면 자살·자해 대응 매뉴얼도 고도화한다.
정서행동 문제 청소년을 치유하기 위해 현재 용인과 대구 2곳에서 운영 중인 청소년치료재활센터를 오는 2026년 전북 익산에 추가 건립할 예정이다.
아울러 사회·경제적 취약 청소년이 고위기 상황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가족갈등 해소와 경제·자립 지원도 강화한다.
청소년상담복지센터와 가족센터는 고위기 청소년의 가족상담 기능을 강화하고 교육청과 연계해 자살·자해 고위험군 청소년의 부모교육으로 확대한다.
경제적 어려움을 겪거나 보호자의 보호를 제대로 받지 못하는 청소년의 특별지원 선정기준을 기존 중위소득 72% 이하에서 100% 이하로 확대한다. 은둔형 청소년도 위기청소년 특별지원 대상에 포함해 생활, 학업, 의료, 직업훈련 등을 지원한다.
또한 가정 밖 청소년의 자립과 사회복귀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자립지원수당 확대를 추진하고 쉼터 퇴소 이후 자립지원을 위한 자립지원관을 전국 시도로 늘릴 예정이다.
김현숙 여가부 장관은 "지난 몇 년간 자살‧자해 청소년이 증가하고 코로나19 장기화로 청소년의 심리‧정서적 위기가 늘었다"며 "사각지대 고위기 청소년을 빠르게 찾아내고 청소년이 힘든 순간 온·오프라인으로 쉽게 연락해 적시에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 체계를 개선하겠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