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 잦은 곳 단속장비·노면표시..사망자 절반 이상 감소

이지연

| 2023-03-07 11:30:27

개선사업 시행 지역 사업 효과성 분석 결과 부산광역시 중구 부평교차로 개선사업 전후

[시사투데이 이지연 기자] 교통사고가 잦은 곳에 신호·과속단속장비 설치, 교통안전표지·노면 표시, 회전교차로 개설을 통해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56.3%, 교통사고 발생 건수는 33.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는 도로교통공단과 함께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을 시행한 지역에 대한 사업 효과성을 분석한 결과를 7일 발표했다.

이는 2020년 지자체에서 개선사업을 완료한 전국 270개 대상지에 대해 개선 후 1년간의 사고 현황을 개선 전 3년 평균 사고 현황과 비교 분석한 결과다.

사업 시행 전 3년간 교통사고로 인한 연평균 사망자 수는 36.6명이었으나 개선사업 시행 후인 2021년 16명으로 56.3% 감소했다. 교통사고 발생 건수도 연평균 2,870건에서 1,911건으로 33.4% 줄었다.

신호·과속단속장비 설치, 교통안전표지·노면표시, 회전교차로 개설 등 간단한 교통안전시설 개선만으로도 사업효과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광역시 중구 부평교차로의 경우 교차로의 기형적 형태, 신호기가 잘 보이지 않아 연평균 11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하던 곳이다. 교차로 내 안전지대 정비, 노면 색깔 유도선 설치, 신호기 이동설치와 신규 설치를 통해 교통사고가 81.8%(2건) 감소했다.

강원도 강릉시 연곡면 하나로마트앞 교차로는 진입하는 차량의 과속으로 인해 개선 전 연평균 2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했다. 기존 교차로를 1차로형 회전교차로로 변경하고 횡단보도, 방호울타리 등 교통안전시설 설치 등으로 개선사업 이후 교통사고가 단 한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경산 입체교차로(IC) 부근의 경우 진입부로의 무리한 차로 변경과 안전지대 내 주정차로 인한 시야확보 어려움으로 개선 전에는 연평균 4.3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했다. 전방 신호기와 노면 색깔 유도선 설치, 주정차가 빈번했던 안전지대에는 교통섬 설치를 통해 개선사업 이후에는 단 1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해 사업시행 전과 비교해 76.7% 감소했다.

한편 행안부는 교통사고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1988년부터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다. 지난해까지 전국 1만 2,058개소를 개선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