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의 실내온도를 측정한 온도계 [60+기후행동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https://sisatoday.co.kr/news/data/2025/07/30/yna1065624915821238_710.jpg)
[시사투데이 = 김균희 기자] 기록적 폭염이 이어지며 전력난 우려가 크다. 이런 가운데 대부분 공공기관이 적정 실내온도 규정을 지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60+기후행동'은 30일 오전 서울 종로구 국정기획위원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들은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60세 이상의 노년층이 자발적으로 결성한 시민단체다.
60+기후행동이 지난달 24일부터 이달 20일까지 회원들이 사는 지역의 구청, 주민센터, 세무서, 도서관, 우체국 등 공공기관 103곳의 실내 온도를 직접 측정한 결과 적정 실내온도 기준인 28도 이상을 준수한 곳은 단 1곳에 불과했다.
24도 미만 22곳, 24도 이상∼25도 미만 28곳, 25도 이상∼26도 미만 44곳, 26도 이상∼27도 미만 8곳 등 나머지 102곳은 모두 기준 온도를 밑돌았다.
회원들이 공공기관을 찾아가 보통 30∼70분, 길게는 1시간 30분 이상을 기다린 뒤 온도계에 표시된 수치를 시간, 장소, 현장 사진과 함께 기록하는 식으로 조사가 이뤄졌다고 단체는 설명했다.
'공공기관 에너지 이용 합리화 추진에 관한 규정'에 따르면 공공기관은 여름철 냉방 시 실내 온도를 평균 28도 이상으로 유지해야 한다.
박태주 60+기후행동 상임대표는 "극한폭염이 한반도를 덮치면서 노인들이 죽어 나가고 있다. '어떻게 하면 노인들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을까'라는 고민에서 공공기관의 온도를 측정했다"고 말했다.
이어 "공공기관이 지침에 따라 솔선수범해서 에너지 절약, 탄소배출 경감, 더 나아가 노인들의 삶의 질과 건강을 위해 앞장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여름철 공공기관 냉방 실태를 전면 조사해 경영평가에 반영하고, 시민 모니터링단(조사관찰팀)을 구성해 주기적으로 모니터링을 할 것 등을 정부에 제안했다.
시사투데이 / 김균희 기자 kyuni92@daum.net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